[인터뷰] 둔 다바르(Dhun Davar) AVPN 프로그램 총괄 겸 부대표 “기후, 보건, 성평등은 각각 독립적 주제이면서 동시에 긴밀히 연결돼 있습니다. 아시아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이 교차점을 이해하는 일입니다.”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홍콩에서 열린 ‘AVPN 글로벌 콘퍼런스 2025’ 현장에서 만난 둔 다바르(Dhun Davar) AVPN 프로그램 총괄 겸 부대표(Chief of Programmes & Deputy CEO)의 말이다. 세인트 자비어 칼리지(St. Xavier’s College)에서 경제학 학사, 런던정경대학교(LSE)에서 개발학 석사를 취득한 그는 20여 년간 임팩트와 필란트로피 분야에서 활동해온 전문가다. 스위스 금융그룹 UBS에서 사회적 임팩트·필란트로피 아시아·태평양 총괄과 글로벌 사회금융 총괄을 맡아 약 4000만 달러(한화 약 552억원) 규모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며 임팩트 투자, 블렌디드 파이낸스, 성과기반 금융을 주도한 인물이다. 또한 인도 뭄바이의 저소득 지역에서 보건·교육·생계 지원 사업을 펼치는 비영리 조직 ‘아프날라야(Apnalaya)’ CEO, 국제 NGO VSO 잠비아 모니터링·평가 자문관, 핸드 인 핸드 인디아(Hand in Hand India) COO, 가이드스타 인디아(GuideStar India) 컨설턴트 등을 거치며 다양한 비영리 현장 경험을 쌓았다. 올해 7월부터는 AVPN 리더십 팀에 합류해 프로그램 총괄과 전략 수립을 맡고 있다. 그는 “공공·필란트로피·민간 금융의 역할을 임팩트 중심으로 새롭게 상상해야 한다”며 “사람과 지구를 위한 활동의 핵심은 협력”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0일, <더나은미래>가 둔 다바르 부대표를 만나 아시아 임팩트 생태계와 AVPN 전략을 물었다. ― AVPN은 기후, 젠더, 보건·영양, 청년 등 여러 의제를 다룹니다. 이 가운데 가장 시급한 분야는 무엇입니까. “모든 분야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가장 시급한 과제는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에서는

일상 된 폭염, 거세진 산불…글로벌 10대 기후 이슈는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산불·탄소예산·ICJ 권고…기후 임계점 경고음EU 규제 완화 논쟁·미국 후퇴, 중국 ‘그린 파워’ 부상 속 COP30 시험대 “지금처럼 연간 40~50기가톤(Gt)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면, 인류가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5℃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 확보한 탄소예산은 2030년 전후 소진될 수 있다.” IPCC(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 6차 보고서가 제시한 경고다. 지현영 서울대 환경에너지법정책센터 변호사는 지난 4일 제주 서귀포에서 열린 ‘2025

30만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돌봄부터 진로까지 막혀있다

희망친구 기아대책 ‘이주배경아동, 사회적 연결을 위한 6가지 시선’ 포럼 전문가들 “생애주기 맞춤 지원과 사회적 포용성 확대 시급” “한국은 이주배경 아동의 정착을 돕겠다 말하지만, 그 뒤에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일을 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습니다. 그러나 한국에서 자란 이주배경 아동은 보통 청년과 다르지 않습니다.” 권오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일 서울 종로구 페럼타워에서 국제구호개발

‘청년의 날’ 맞아 4편의 다큐 상영…GV·체험 전시도 함께

유쾌한반란·지구별미디어, 20일 헤이그라운드서 청년 다큐 영화제 개최 사단법인 유쾌한반란이 ‘청년의 날(9월 20일)’을 맞아 오는 20일 오후 4시부터 헤이그라운드 서울숲점에서 다큐멘터리 영화제 ‘녹음집 : Green Recording Collection’을 개최한다.  청년 미디어 그룹 ‘지구별미디어’가 주관하는 이번 영화제는 ‘녹음(Green Recording)’이라는 정체성을 바탕으로 청춘들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이번 영화제에서는 청년의 삶을 다룬 4편의 다큐멘터리가 상영된다. 공모전

김칫국물 뒤집어쓴 복날, 그래도 ‘계’운했던 이유 [더나미GO]

더나은미래 기자, 자원봉사자가 되다 <6>농협상호금융 ‘복날맞이, 무더위도 계(鷄) 운하게’ 나눔 행사 현장 “어르신들 식판 쏟아지면 정신없어요! 지금 빨리, 빨리!” 베테랑 봉사자의 외침을 신호탄으로 컨베이어 벨트처럼 움직이는 손길들이 빨라졌다. 머리 두건과 앞치마, 마스크, 비닐장갑으로 중무장한 채 기자가 맡은 임무는 식사 후 식판 정리였다. 식판에서 수저와 닭 뼈를 분리하고, 남은 음식물을 덜어내는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2023 한국 ESG 금융백서’를 발간했다.

ESG 금융 5년 새 213% 성장, 국민연금·공적 금융이 주도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민병덕 국회의원실 ‘2023 한국 ESG금융백서’ 발간ESG금융 규모 1880조원, 전체 금융자산 4분의 1 수준 국내 ESG 금융이 지난 5년간 213% 성장하며 2023년에는 1880조원 규모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의 책임투자 확대, 공적 금융의 역할 강화, ESG 투자 증가 등이 주요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발간한 ‘2023 한국 ESG 금융백서’에

글로벌 이슈

지난 2021년 5월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 일대 숲이 벌채로 인해 민둥산이 됐다. 이곳에는 40~50년생 잣나무가 자라고 있었다. /조선DB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벌목 논란’ 빚었던 산림청… 탄소중립 계획에 또 벌목발전

수령 30년 이상 나무를 베어내 바이오매스 발전에 쓰겠다는 산림청의 탄소중립 계획이 또 다시 등장했다. 산림청은 지난 2021년 나무 3억그루 벌채 계획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고 한발 물러선 적이 있다. 그런데 이번에도 비슷한 계획을 꺼내놓으면서 환경단체 중심으로 비판이 나온다. 10일 산림청은 ‘제3차 탄소흡수원 증진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2027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량의 21%(3000만t)을 흡수하겠다고

4 ·10 총선을 40여 일 남겨둔 가운데, ‘기후 유권자’가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는 어도비 AI 파이어플라이를 통해 제작된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어도비 파이어플라이
[키워드 브리핑] 2024 총선 바꿀 ‘기후 유권자’가 온다

‘기후위기’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아진 2024년, 이번 총선에서 기후위기는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4 ·10 총선을 40여 일 남겨둔 가운데, ‘기후 유권자’가 새로운 유권자 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후 유권자’란 최근 기후 변화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며 생긴 용어로, 기후 의제를 중심으로 투표 선택을 고려하는 유권자를 의미한다.  로컬에너지랩과 더가능연구소, 녹색전환연구소 등이 참여한 ‘기후정치바람’은 지난해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 [창간14주년 특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