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INION

맥아더 펠로십(MacArthur Fellowship)은 과학의 노벨상, 수학의 필즈상, 컴퓨터과학의 튜링상, 언론의 퓰리처상과 함께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꼽힌다. 익명의 선정위원회가 비밀리에 25명 내외의 수상자를 고르고, 선정된 이들은 5년에 걸쳐 총 80만 달러(약 11억3000만원)의 상금을 조건 없이 자유롭게 사용한다. 기준은 독창성, 창의성, 헌신 그리고 자기 주도 능력. 추상적이면서도 포괄적이기 때문에 매년 누가 선정될지 누구도 예상하기 어렵다. 다만 한 분야를 개척한 이들이 이름을 올리는 경우가 많아 미국에서는 ‘맥아더 천재상(MacArthur Genius Award)’으로 불린다. 이 영예의 전당에 2025년, 한국계 미국인 정치학자 한하리 교수가 이름을 올렸다. 올해 선정된 22명의 맥아더 펠로우 가운데 유일한 정치학자다. 1세대 한인 이민 가정에서 자라 하버드 대학에서 학부를 마치고 스탠퍼드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한 교수는 현재 존스홉킨스대에서 정치학을 가르친다. 동시에 민주주의와 시민사회 연구의 국제적 거점인 SNF 아고라 연구소(SNF Agora Institute)의 초대 소장이다. 이 연구소는 스타브로스 니아르코스재단(SNF)과 존스홉킨스대가 공동으로 1억5000만 달러(약 2130억원)를 출연해 만든 기관이다. 한 교수의 연구 주제는 명확하다. 시민이 정치와 정책 결정 과정에서 어떻게 단순한 관객이 아닌 실질적 참여자가 될

전문가 칼럼 >
Picture of 영리한 비영리
영리한 비영리

김진아 아름다운재단 사무총장

Picture of 지금은 인구테크
지금은 인구테크

김영준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혁신사업실장

Picture of 임팩트로의 초대
임팩트로의 초대

정원식 디쓰리쥬빌리파트너스
심사역

Picture of 기후 유니버스
기후 유니버스

김민 빅웨이브 대표

Picture of 조직문화 pH6.5
조직문화 pH6.5

안지혜 진저티프로젝트 디렉터

Picture of 논문 읽어주는 김교수
논문 읽어주는 김교수

김민석 지속가능연구소 소장

Picture of 일독을 권합니다
일독을 권합니다

서현선 SSIR한국어판 편집장

Picture of 공익이 이끄는 데이터 과학
공익이 이끄는 데이터 과학

김재연 미국 공공 영역
데이터 과학자

Picture of 조각맞춤
조각맞춤

김현주 에누마코리아
임팩트 사업 본부장

Picture of 지역의 미래
지역의 미래

오승훈 공익마케팅스쿨 대표

Picture of 우리도 사람을 살릴 수 있다면
우리도 사람을 살릴 수 있다면

김형준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선임 매니저

Picture of 사회혁신가의 두 가지 언어
사회혁신가의 두 가지 언어

이호영 임팩트리서치랩 공동대표·한양대학교 겸임교수

Picture of Who Cares Wins
Who Cares Wins

이은경 UNGC한국협회 실장

Picture of 투자자, 연금술사가 되다
투자자, 연금술사가 되다

박정호 MYSC 부대표 겸 CSO

“시작은 사명감으로, 생존은 기업가 정신으로” 2000년 정부 지원 끊겼지만 실업 청소년 위해 포기 안 해 연간 매출액 약 99억원… 사회적 비용 절감 약 93억원 돈 버는 일? 어렵다. 직원들 월급 주며 사장 노릇 하기? 더 어렵다. 게다가 실업자에게 일자리를 주려고 사업을 벌인다면? 불가능한 꿈이다. 하지만 이런 불가능한 꿈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있다. 혼자가 아니기에, 그리고 꿈꿀 만한 가치가 있기에, 이 악물고 도전한다. 지금 세계를 바꾸고 있는 ‘사회적 기업가’들은 이런 꿈을 꾸는 사람들이다. 돈을 많이 벌기 위해 회사를 차리는 게 아니라,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회사를 차린다. 이자를 벌기 위해 은행을 하는 게 아니라 가난한 사람들이 자립할 돈을 꿔주기 위해 은행을 만든다. 어려운 사람들의 주머니 사정에 맞는 병원을 짓고,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싼 전기를 제공한다. ‘욕심’을 버리니 세상이 바뀐다. 전 세계 사회적 기업가는 100만명을 넘어섰다. 조선일보 공익섹션 ‘더 나은 미래’는 ‘세상을 바꾸는 사회적 기업가’들을 찾아 지난 3개월간 유럽과 미국, 아시아를 누볐다. 나라마다 대륙마다 사회적 기업가의 철학과 비전도 달랐다. ‘공동체’를 주장하는 시민운동가에 가까운 사회적

아카이브 >
Picture of 정경선의 최적화 인류
정경선의 최적화 인류

정경선 실반그룹 공동대표

Picture of Z의 휠체어
Z의 휠체어

유지민 前 거꾸로캠퍼스 재학생

Picture of 기업과 사회
기업과 사회

임성택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

Picture of 최재호의 소셜 임팩트
최재호의 소셜 임팩트

최재호 현대차정몽구재단 사무총장

Picture of 농업의 미래, 미래의 농업
농업의 미래, 미래의 농업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

Picture of 오늘도 자란다
오늘도 자란다

장서정 자란다 대표

Picture of 월간 성수동
월간 성수동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

Picture of 한수정의 커피 한 잔
한수정의 커피 한 잔

한수정 아름다운커피 대표이사

Picture of 쓰레기공장 이야기
쓰레기공장 이야기

김정빈 수퍼빈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