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며칠 전, 딸의 방을 정리하다 숙제 노트 한 구석에 적힌 문장을 발견했다.
“A friend in need is a friend indeed.”
어려울 때 돕는 친구가 진짜 친구라는 말, 흔히 듣던 우리 속담이 영어에도 그대로 있다는 것이 새삼스럽게 다가왔다. 결국 좋은 친구란 동서양을 막론하고 ‘늘 곁에 있는 존재’를 의미하는 듯하다.
요즘 국제사회는 우리에게 그 질문을 던지고 있다.
“우리는 어떤 친구인가?”
최근 미국, 영국 등 주요 원조 공여국들이 공적개발원조(ODA) 예산을 잇달아 대폭 삭감했다. 미국은 국제개발처(USAID) 구조조정과 함께 진행 중인 ODA 사업의 90%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영국은 2027년까지 원조 예산을 국내총소득(GNI)의 0.5%에서 0.3%로 줄인다고 밝혔는데, 이는 약 40%의 감축이며 줄어든 예산은 국방비를 증액하는 데 쓰인다고 한다. 독일, 네덜란드도 10% 규모의 감축안을 내놨으며, 일본 역시 엔화 가치 하락으로 원조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문제는 단순한 예산 감소가 아니다. 지금까지 다자주의를 통해 쌓아온 국가 간 신뢰와 연대, 책임의 약속이 함께 흔들리고 있다는 데 있다. 그 충격은 국제보건 분야에서 가장 먼저,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
기후변화와 분쟁의 확산으로 감염병 위협은 커지고 있지만, 이를 대응하는 국제 보건 재정은 오히려 줄고 있다. 공여국들의 재원 축소로 인해 보건 시스템 강화와 백신 보급 등 주요 프로그램이 차질을 빚고 있으며, 국제기구들조차 사업 축소를 검토하는 상황이다.

이럴 때일수록 한국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한국은 OECD 국가 중에서도 드물게 ODA를 지속 확대하고 있는 국가다. 2024년 ODA 예산은 전년 대비 31% 증가했고, 2025년에도 3.1% 증액이 확정됐다. ‘2030년까지 ODA 두 배 확대’라는 목표도 5년 앞당겨 달성한 상황이다. 많은 나라들이 뒷걸음질 칠 때, 한국은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왜, 지금 특히 국제보건 분야에 대한 투자를 유지하고 확대해야 할까. 세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국제보건은 원조의 효과(impact)를 가장 분명하게 입증할 수 있는 분야다. 다른 어떤 원조보다도 생명을 살리고, 질병을 예방하는 국제보건은 그 효과가 명확히 드러난다. 대표적인 사례가 예방접종이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약 400만 명의 생명을 구하고 있으며, 1달러를 투자하면 최대 54달러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률 감소, 생산성 증가, 의료비 절감 등도 숫자로 증명된다. 이 때문에 국제보건은 원조에 회의적인 시선을 가진 이들도 설득할 수 있는 분야다.
둘째, 국제보건은 다자 외교(multilateral diplomacy)의 전략 플랫폼이다. 한국은 WHO 집행이사국, 글로벌펀드 이사국,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 이사국 등으로 활동하며 다자보건 외교의 핵심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G7과 G20에서도 보건은 기후변화와 함께 가장 중요한 글로벌 의제로 다뤄진다. 감염병은 단순한 보건 이슈에 그치지 않는다. 외교, 안보, 경제 전반에 파급력을 미치는 종합적 도전 과제다. 한국이 보건 안보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역할을 확대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셋째, 국제보건은 누군가를 도와주는 것을 넘어 국내 산업에도 확실한 이익(industy benefit)을 가져다주는 분야이다. 한국 기업들은 세계백신면역연합(이하 Gavi)을 통해 매년 1500억 원 이상 백신을 수출하고 있다. 이는 한국 정부의 Gavi 공여액보다 몇 배나 많은 규모다. 또한 글로벌펀드 조달 시장에서도 한국은 신속진단키트 부문 1위, 전체 진단기기 부문 3위에 올라 있다. 중저소득국 보건 문제 해결에 기여하면서도 국내 보건 산업의 수출 확대라는 성과를 동시에 거두고 있는 셈이다. 국제보건은 투자의 성격을 지닌 ‘미래 산업 전략’이다. 전 세계가 보건외교의 최전선에서 경쟁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결국 국제보건은 ‘사람을 살리는 일’이자 ‘국익을 키우는 일’, 그리고 ‘국격을 보여주는 일’이다. 모두가 다양한 이유로 국제보건 지원에서 한 발 물러설 때, 우리가 그 자리를 지키고 기여를 늘리는 것. 그것이야말로 진짜 친구의 자세이자, 책임 있는 국가의 리더십이다. 우리에겐 그럴 철학이 있고, 사명이 있으며, 전략적 판단력도 있다.
“A friend in need is a friend indeed.”
어려울 때 돕는 친구가 진짜 친구라는 말을 다시 되새겨본다.
김형준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선임 매니저
필자 소개 미국 하버드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전에는 국제기구 유니세프에서 약 10년간 근무하며 네팔, 가나, 말레이시아,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개발도상국 아동과 청소년의 건강한 삶을 위해 활동했습니다. 동시에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에서 선임 매니저로 일하며 백신으로 저개발국의 아동들을 살리는 사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개발도상국에서 보건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일하며 질병 예방으로 사람을 살리는 다양한 방법을 경험했고, 이를 많은 분과 나누고자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