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nter is coming.”(겨울이 오고 있다) 미국 드라마 왕좌의 게임 첫 에피소드의 제목이자 밈으로 널리 퍼진 대사다. 어렵고 힘든 날이 다가온다는 경고이자, 대비하라는 메시지다. 국제보건, 더 넓게는 국제개발원조의 영역에도 겨울이 닥쳤다. 미국의 해외원조 삭감에서 시작된 듯 보이지만, 그 전부터 징후는 곳곳에 나타나고 있었다. 원조에 대한 회의론이 커졌고, 과연 효율적이고 임팩트가 있는지 묻는 질문이 늘어났다. 제대로 답하지 못한 채 시간이 흘렀고, 결국 겨울이 찾아온 것이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러한 질문에 답하려는 노력은 끊이지 않았다. 충분히 설득력을 발휘했는지는 별개의 문제지만, 국제기구들은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효율을 입증하려 애써왔다. 이 글에서는 필자가 지난 2년간 몸담았던 기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기구들이 어떻게 혁신하며 원조의 효과성을 높여왔는지 세 가지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 180만원 백신을 3만원으로 낮춘 비밀 2000년대 이전까지 백신은 사실상 선진국의 전유물이었다. 중저소득 국가는 협상력을 잃은 채 비싼 가격에 소량만 구매하거나 선진국 기부에 의존해야 했다. 이런 시장 실패 속에서 2000년,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빌 게이츠 등이 아이디어를 냈다. “중저소득국의 백신 수요를 묶어 제약사와 협상하면 가격을 낮출 수 있지 않을까?” 백신 펀드를 조성해 공동구매로 가격을 낮추자는 것이었다. 그렇게 2000년,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이 출범했다. 효과는 막대했다. 미국 공공시장에서 약 180만원이던 아동 필수 백신을 Gavi는 단 3만원에 공급받았다. 원리는 간단했다. 제약사에 대량·장기 공급을 약속해 신뢰를 주고, 공동구매로 가격을 낮춘 것이다. 처음엔 반신반의하던 제약사들도 Gavi가 매년 대량의 백신을 구매해 실제로 공급하는 것을 보며 합류했다. 200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