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가 보건 위기 불렀다…“한국도 글로벌 대응에 나서야”

국경없는의사회-국회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 포럼 공동 주최
탄소 감축과 건강 위기 대응 전략 논의 이어져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 단체인 국경없는의사회가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기후위기, 국경을 넘다: 기후 보건 그리고 한국의 역할’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국경없는의사회와 국회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포럼이 공동으로 연 이번 포럼은 “기후위기는 환경을 넘어 전 세계 보건 위기로 번졌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포럼에서는 특히 중저소득국가의 취약 계층이 감염병 확산, 영양실조, 강제이주, 의료 접근성 제한 등 복합적인 보건 위협에 노출돼 있다는 점이 집중 조명됐다. 참석자들은 “국제사회가 더 늦기 전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3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국경없는의사회와 국회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포럼이 주최한 ‘기후위기, 국경을 넘다: 기후 보건 그리고 한국의 역할’ 포럼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포럼에서는 국경없는의사회가 현장에서 목격한 보건 위기 사례들이 집중 조명됐다. 엠마 캠벨 국경없는의사회 한국 사무총장은 “대한민국은 글로벌 보건과 기후 대응을 선도할 역량이 충분한 나라”라며 “기후-보건 연계 정책의 모범 사례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했다.

제사 폰테베드라 국경없는의사회 스위스 의료 총괄은 “기후위기와 인도적 위기는 뗄 수 없는 관계”라며 “국경없는의사회는 탄소 배출 저감과 기후 적응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같은 경험을 앞으로도 꾸준히 한국의 국제개발 및 인도단체와 공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하은희 이화여대 의과대학 교수는 ‘취약 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지구 건강’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하 교수는 “사회적 약자는 환경 위험에 노출되는 반면, 환경 혜택은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다”며 “이로 인한 건강 격차가 빈곤의 악순환으로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 공조 방안이 논의됐다. 이연수 코이카 사업전략처장은 “국경없는의사회 등 보건 전문 기관과의 포괄적 파트너십을 통해 복합적 위기 해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진원 세계보건기구(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 과장, 패트릭 지통가 녹색기후기금(GCF) 보건 및 기후 선임전문가, 정현미 국경없는 과학기술자회 부회장 등도 참여해 한국의 역할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국내외 전문가들은 “한국은 기술력과 국제 협력 경험을 갖춘 국가”라며 “보건 외교 확대를 통해 글로벌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