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 전, 미국 캘리포니아의 작은 도시 벤추라에 본사를 둔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Patagonia)를 찾았다. 전현직 CEO와 CFO, 철학 담당 임원 등 주요 경영진을 직접 만나 대화할 기회였다. 2018년 파타고니아 코리아의 도움으로 첫 방문한 인연이 이어져, 한국에서 파타고니아의 경영철학과 행동주의 기업으로서의 운영 방식을 전파하는 활동을 했다. 작년에는 ‘파타고니아 비즈니스 스쿨’을 열고 선후배들과 함께 공부하며 다시 이곳을 찾게 됐다. ‘우리는 우리의 터전, 지구를 되살리기 위해 사업을 한다.’ 1973년, 등반가였던 이본 쉬나드가 창립한 파타고니아는 이 신념을 지켜왔다. 유엔환경계획(UNEP)으로부터 ‘지구환경대상(Champions of the Earth)’을 수상했고, 세계 여러 지속가능성 지표에서도 늘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잉거 안데르센 UNEP 사무총장은 “파타고니아는 민간기업이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훼손, 지구 위협에 맞서 싸우는 데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모범”이라고 평가했다. 미국에 도착한 다음 날, 오랫동안 파타고니아의 지속가능성을 책임져온 ‘거북이 할아버지, 릭 리지웨이’와의 미팅으로 일정이 시작됐다. 이후 초대 CEO이자 환경운동가인 크리스 톰킨스, 현 CEO 라이언 갤러트, CFO, 철학 담당 임원, HR 총책임자, 제품 총괄 사장 등 다양한 리더십과 일주일 동안 대화를 나눴다. 짧지만 강렬했던 시간이었다. 특히 기억에 남은 세 가지 질문을 공유하고자 한다. ◇ “우리가 만드는 제품은 지구에 도움이 되나요?” 얼마 전 창립 50주년을 맞은 파타고니아는 다음 50년을 준비하며 가장 중요한 과제로 무엇을 삼았을까. 파타고니아 철학 담당 임원이자 비즈니스 스쿨 교장인 빈센트 스탠리는 주저 없이 ‘제품 품질’을 꼽았다. 의류 제조업체로서 품질을 강조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