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가 돌아왔다. 지난해 11월 6일 미국의 제47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트럼프가 지난 1월 21일 공식 취임했다. 바이든의 사퇴, 트럼프의 유세장 피습, 해리스의 추격 등 그 과정에서 여러가지 사건을 지구촌 모두가 지켜봤다. 선거 과정에서 드러난 두 후보의 기후 정책은 극명한 온도차를 보였다. 여론조사에서는 해리스와 트럼프가 백중세를 이루는 것으로 점쳐졌지만, 결과는 312 대 226. 예상보다 트럼프가 여유 있게 승리했다. 기후 부정론자 트럼프의 귀환을 반길 수는 없었다. 그가 8년 전 대통령 재임 당시 보였던 반기후적인 행보를 모두가 기억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번에는 그 간의 학습효과를 바탕으로 반기후 정책을 폈으면 더 폈지 절대로 덜 할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 또한 알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상 현실로 인정해야 한다. 미국이 트럼프를 선택한 이유를 살펴보고,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하고 대비해야 한다. ◇ 미국이 트럼프를 선택한 이유 트럼프 당선의 배경을 살펴보면 크게 세 가지 요인이 꼽힌다. 첫째, 인플레이션 문제다. 코로나 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겪으며 물가가 많이 올랐고, 바이든의 경제 정책에 대한 불만이 커졌다. 그린뉴딜 정책에서 출발한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이 바이든 정부의 성과였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의 체감도는 낮았다. 둘째, 민주당 지지층의 이탈이다. 바이든 정부가 이스라엘을 적극 지지하면서, 팔레스타인에 연대하는 진보층과 대학생들이 등을 돌렸다. 민주당의 전통적 지지층이었던 이들이 투표를 포기하거나 다른 선택을 하면서 트럼프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다. 셋째, 해리스의 차별화 전략 실패다. 바이든이 사퇴한 이후 물리적 시간이 부족했던 것도 문제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