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연금술사가 되다] 혼합금융 101 : 먼저 믿고 투자합니다

3월을 앞두고 인도네시아로 출장을 다녀왔다. 이번 출장은 평소와 달리 10명이 함께하는 동행 일정이었다. 미스크의 혼합금융팀을 비롯해 대기업 ESG팀,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월드비전의 전문가들이 한 팀을 이뤘다. 인도네시아 환경부 차관과의 미팅이 예정되어 있어, 출장단은 전통 의상인 바틱까지 준비하며 한껏 기대감을 높였다. 이번 출장은 ‘KOICA IBS-ESG 이니셔니브’ 공모 사업을 혼합금융 기반으로 제안한 국내 대기업과 미스크의 프로젝트가 타당한지 사전 검토하는 자리였다. 혼합금융(Blended Finance)이란 개발 재원을 민간 투자와 결합해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을 촉진하는 방식이다. KOICA 현지 사무소를 비롯해 개발도상국 투자 전문 벤처캐피털 ‘카프리아 벤처스(Capria Ventures)’,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임팩트 액셀러레이터이자 오랜 친구인 ‘인스텔라(Instellar)’, 소셜벤처 육성사업을 운영하는 ‘파이자(Pijar) 재단’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논의를 진행했다. ◇ 서로 다른 렌즈로 본 혼합금융 가장 뜨거웠던 시간은 외부 미팅이 끝난 뒤 매일 저녁 이어진 3시간의 토론이었다. 대기업 ESG팀은 ‘이중 중대성(double materiality)’ 평가를 통해 자사 ESG 과제를 도출하고, 그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셜벤처를 발굴해 투자하는 ‘임팩트 펀드’를 결성할 예정이다. 이들은 소셜벤처 팀들이 개발도상국에서도 동일한 임팩트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개발협력 전문가들의 시각은 달랐다. “민간 기업이 왜 굳이 ‘펀드 투자’라는 방식으로 이윤을 목표로 하지 않는 기업 활동을 하는지?”, “투자할 팀이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전 임팩트 지표를 어떻게 설정할 수 있는지?” 특히, 블라인드 펀드(Blind Fund)의 특성상 투자 대상 기업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프로젝트 성과(outcome)를 어떻게 예측할 것인가라는 문제도 제기됐다. 이처럼 투자와 개발협력, 각자의 렌즈는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