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에 이어 한국을 찾은 일본 피아니스트 츠지이 노부유키는 선천적 시각장애를 지니고 있다. 점자 악보가 귀해 그는 왼손·오른손 파트를 코치가 한 소절씩 녹음해 준 것을 들으며 곡을 외워 연습한다. 지난달 자카르타에서 만난 공유주거 스타트업 루키타(Rukita)와의 미팅은 마치 그 코치가 된 듯한 기분을 안겨주었다. 루키타는 공유주거와 청소·세탁 서비스, 주거 정보 플랫폼까지 운영하는 인도네시아 1위 프롭테크 기업이다. 자매 대표를 처음 만난 2023년, 그들은 필자를 도심 옆 미개발 지역의 여인숙(Kost)으로 데려갔다. 사회초년생들이 한 달 300달러를 내고도 열악한 환경에서 사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이어 찾은 루키타의 코리빙 하우스는 쾌적한 공간과 합리적 비용으로 확연히 대비됐다. 본사에서 만난 자매는 자신들의 사업이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세부목표(11.1)에 정확히 부합한다는 사실을 그날 처음 알았다. 심지어 서울에서 가져간 SDGs 피켓을 기념품처럼 기증하고 돌아와야 했다. 2년이 흐른 지금, 루키타는 3만 개 방과 5만 명의 고객을 보유한 인도네시아 최대 코리빙 서비스로 성장했다. 단순한 숫자 확대에 그치지 않았다. 기존 월 270달러(한화 약 37만원) 수준에 개별 에어컨과 가구, 공용주방·거실, 세탁·청소 서비스까지 제공하던 모델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올해는 ‘우마(uma)’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내놨다. 월 100~150달러로 깨끗한 방과 청소·세탁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상품이다. 대표 사브리나는 “청년 입주자들의 안정감을 보며 더 많은 이들에게 적정 주택을 보급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출시와 동시에 전 객실이 만실을 기록했고 대기자까지 몰려 확장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창업자 자매가 새롭게 주목하는 키워드는 ‘이웃’이다. 그들이 짓고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