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상보다 20분 이상 더 걸렸다. 구글 지도가 안내한 시간은 이미 한참 넘긴 상태. 약속한 미팅 시간에도 늦었고, 차는 좀처럼 움직일 기미가 없었다. 초조함을 삼키며 차창 밖을 내다보던 순간, 대로변 한복판에 멈춰선 소 한 마리와 눈이 마주쳤다. 차들은 그 소를 피해 조심스레 움직였고, 같은 시야 안에는 테슬라 전기차와 수십 명이 탄 릭샤도 보였다. 그렇게 필자에게 인도의 첫인상은 ‘예상 밖의 것들이 공존하는 풍경’으로 남았다. 그리고 이 인상은 곧 ‘혼합금융(Blended Finance)’이라는 개념과 겹쳐졌다. 벵갈루루에서 만난 초기 투자사와 비영리 기관들이 수행하는 프로젝트 역시, 이질적인 요소들이 뒤섞여 하나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었다. ◇ 벵갈루루에서 겪은 ‘혼합금융’의 현장 ‘혼합금융’은 말 그대로 여러 재원을 혼합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글로벌 조직 ‘컨버전스(Convergence)’는 이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민간 투자를 유도하고자 공공이나 자선 재원을 촉매자본으로 활용하는 것”이라 정의한다. 이 과정에는 민간 투자자, 공공기관, 재단, 수혜 기업 등 적어도 세 주체 이상이 개입한다. 인도 벵갈루루에서 방문한 ‘카본 마스터스(Carbon Masters)’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한국의 과거 LPG처럼 가스를 통에 주입해 현지 식당 30여 곳에 납품하고 있었다. 갑작스럽게 공장까지 둘러보게 된 뒤, 인큐베이터 ‘빌그로(Villgro)’와 대출 지원 기관 ‘유누스 소셜 비즈니스(Yunus Social Business)’ 관계자를 연이어 만났는데, 공통적으로 이 기업을 언급했다. 한 기업의 이름이 이토록 반복해서 언급되는 건 우연이 아니다. 18억 명 이상이 거주하는 인도처럼 인구 밀도가 높은 국가에선 폐기물 처리가 중대한 사회문제이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