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국립대학교 내 통합지식교육센터 기공식 개최
대한민국 정부가 인도네시아의 고등교육 격차 해소와 디지털 교육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배움터’ 조성에 나섰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각) 인도네시아 국립대학교(University of Indonesia)에서 ‘통합지식교육센터’ 기공식을 열었다. 센터는 누구나 온라인으로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는 MOOC(대규모 공개강좌) 플랫폼을 중심으로, 콘텐츠 제작부터 학습까지 가능한 디지털 고등교육 허브로 구축된다.

이날 행사에는 하산 하비비 인도네시아 고등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자문관, 헤리 헤르먄샤 국립대학교 총장, 박수덕 주인도네시아대사관 대사대리, 이윤영 코이카 본부 이사 등 양국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해 첫 삽을 떴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 최대 인구 국가지만, 지역 간 교육 인프라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 부족으로 고등교육 진입 장벽이 높았다. 특히 농촌 및 도서 지역 학생들은 시간과 거리의 제약으로 고등교육에서 배제되기 일쑤였다. 이번 교육센터는 이런 불균형을 디지털로 메우는 ‘교육의 플랫폼 전환’ 시도로 평가된다.
코이카는 센터 내에 온라인 학습 환경 구축은 물론, 교수 역량 강화, 콘텐츠 개발, 기술 인프라 보강 등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생성형 인공지능(AI) 확산과 4차 산업혁명 흐름에 부응하는 교육 모델 정착을 염두에 둔 설계다.
우리 정부를 대표해 행사에 참석한 박수덕 주인도네시아대사관 대사대리는 “이번 센터는 한-인도네시아가 지식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함께 설계해가는 상징”이라며 “양국의 우정과 파트너십이 교육과 디지털 혁신을 기반으로 더욱 굳건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헤리 헤르먄샤 인도네시아 국립대 총장은 “MOOC 플랫폼을 통해 더 많은 학생들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센터는 인도네시아 고등교육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윤영 코이카 이사는 “인도네시아 국립대의 혁신 노력에 부응해, 이번 센터가 AI 기반 교육의 거점으로 자리 잡도록 돕겠다”고 했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