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노인친화형 복지대피소 훈련’ 강원서 열려

노인복지관을 대피소로…재난 상황 전 과정 실습

재난이 닥쳤을 때 가장 취약한 계층은 노인·장애인 같은 사회적 약자다. 하지만 국내에는 이들을 위한 복지대피소 설치·운영 지침조차 없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재난사회복지 전문기관 더프라미스가 13일 강원 원주시노인종합복지관에서 ‘2025년 강원형 재난복지 대응 훈련’을 열고, 국내 최초로 ‘노인친화형 복지시설형 대피소’ 훈련을 진행했다.

지난 13일 강원도 원주시노인종합복지관에서 진행된 ‘노인친화형 복지시설형 대피소 훈련’ 현장의 모습. /더프라미스

이번 훈련은 신용카드사회공헌재단의 지원을 받아 강원도사회서비스원, 강원도사회복지협의회, 강원도사회복지사협회가 공동으로 마련했다. 강원재난회복지원단, 재난복지사, 원주시노인종합복지관 어르신 등 87명이 참여해 대규모 재난을 가정하고 대피소 입소부터 서비스 부스 운영, 이재민 조사, 급식 지원, 대피까지 전 과정을 실습했다.

훈련에 참여한 중증장애인 시설 ‘다소니’의 김원태 생활재활교사는 “처음에는 텐트 설치법조차 몰랐지만 직접 참여하며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알게 됐다”며 “이재민에게 정확한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체감했다”고 말했다.

이번 훈련은 ▲20일 장애인 친화형 복지대피소 훈련(한국여성수련원) ▲28일 지역사회 수요조사 훈련(강릉 옥계면) 등 총 3차례로 이어진다.

김동훈 더프라미스 상임이사는 “국내에는 복지대피소 설치·운영 지침이 전무한 상황”이라며 “이번 훈련은 실제 복지관을 대피소로 전환하고 현장 재난복지사들이 직접 기획·운영해 우리 실정에 맞는 ‘한국형 복지대피소 모델’을 만드는 첫 시도”라고 말했다.

김규리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