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현장에 투입될 ‘이동형 놀이터’ 나왔다

LG유플러스·경기도사회적경제원·어린이날다 협동조합 공동 개발
놀이를 통한 트라우마 회복… 내년부터 재난구호 현장 도입 예정

LG유플러스가 경기도사회적경제원, 어린이날다 사회적협동조합과 손잡고 재난현장 아동을 위한 ‘찾아가는 이동형 놀이터’를 개발했다.

이번 사업은 기존 재난 구호가 상담 등 정적 지원에 머물렀던 한계를 보완하고, 유엔아동권리협약(UNCRC) 제31조가 명시한 아동의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기획됐다. 협약은 놀이가 아동의 트라우마 회복과 일상 복귀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동형 놀이터는 조립·해체·운송이 쉬운 모듈형 구조로 제작됐다. 주요 기구는 ▲인디언 천막(티피) ▲회전그네 ▲한글 가베교구 등이다.

인디언 천막은 아카시아 나무 볼트와 너트로 조립하며, 성인 2명과 아동 4명이 힘을 합치면 2시간 안에 완성된다. 높이 2.5m의 천막 4개가 세트를 이루고, 사다리·미끄럼틀·밧줄이 결합돼 아이들이 자유롭게 오를 수 있다. 회전그네는 폐목재를 활용해 높이 4.5m 기둥을 세우고 좌석과 지지대를 연결한 구조로, 최대 4명이 동시에 탑승할 수 있다. 안전을 위해 헬멧 착용은 필수다. 한글 가베교구는 자모음 블록을 맞추거나 쌓으며 창의력을 기르는 놀이도구다.

세 기관은 지난달 30~31일 경기 안산 경기창작캠퍼스에서 지역 아동 30여 명과 함께 체험 행사를 열었다. 오는 9월 고양호수예술축제에서도 시범 운영을 거쳐 현장 투입 가능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LG유플러스 재난 구호 현장에 정식 도입할 계획이다.

주이규 경기도사회적경제원장 직무대행은 “사회적경제조직과 기업이 힘을 모아 사회문제를 푸는 개방형 혁신 모델이 현장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명섭 LG유플러스 ESG추진팀장은 “재난 상황에서도 아이들이 희망을 잃지 않고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와 협업해 밝은 세상을 만들겠다”고 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이 외에도 재난 현장에서 최대 68대의 휴대폰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차’와 반려동물 구호소를 운영하며 구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