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 맞춤] 감응의 파트너십

‘파트너십’은 쉬운 듯 어려운 말이다. ‘서로의 이익 증대를 위해 함께 일한다’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뜻일 텐데 파트너십이란 말로는 다 설명이 안 되는지 그 앞에는 늘 수식어가 붙는다. 동등한 파트너십, 대등한 파트너십, 그리고 동반자적 파트너십까지. 모두 위계 없이 각별히 잘 지내보겠다는 뜻인데, 수사를 붙이면 붙일수록 어쩐지 더 아리송한 말이 된다. 내가 아는 가장 선명하고 쉬운 해석을 소개한다. 비영리기관에서 근무하던 시절 함께 일한 선배가 알려준 실전형 가이드이다. 사전적 정의나 화려한 수사로 존재하는 ‘파트너십’이란 단어를 현실로 끌어내려 사고하도록 이끌어준 조언이었다. 어떤 일을 하든 아래 3가지를 기억하자 했다. 첫째, 우리는 왜 파트너와 함께 일하나? 혼자서는 목표를 이룰 수 없기에 함께 한다. 파트너가 내 일을 대신해줘서, 비용이 덜 들어서가 아니다. 둘째, 파트너십의 기본 조건은 무엇인가? 내 일과 파트너 사이에 겹침이 없어야 한다. 서로 다른 전문성을 가진 이들이 만나야 한다. 셋째, 버려야 할 것은 무엇인가? 익숙하고 편한 상대를 찾으려는 노력을 멈춰야 한다. 최고와 함께 일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자. 서로가 일의 기준을 높일때라야 점진주의를 넘어 도약한다. 일의 결과가 나아진다.  임팩트 스타트업에 합류해 7년째 일하다 보니 시나브로 실전에 뛰어든 기분이다. 학습이 어려운 아이도 성공적으로 배우도록 돕는 디지털 교육 도구를 만들어 전 세계 여러 나라, 특히 교육 격차가 큰 지역의 학교, 교사, 아이들에게 닿고자 한다. 그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무엇인가? 교육 현장을 지키는 파트너와 함께할때라야 가능하다. 국제기구, 정부,

[조각 맞춤] 사회가 풀려고 하지 않는 문제를 기술 혼자 풀 수는 없다

“전시장에 수백 개가 넘는 부스가 있는데 우리 아이들을 배려해 만든 에듀테크는 열심히 찾아야만 보이네요.” 지난 9월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 전시장에서 경기도 화성의 초등학교에서 통합학급을 맡고 있는 한 교사가 에누마의 ‘토도수학’ 부스를 발견하고는 “반가움이 반, 섭섭함이 반”이라며 소회를 털어놓았다. ‘에듀테크 페어 코리아’는 교육부와 산업자원부 등이 주최하고, 200개가 넘는 국내외 교육기업이 참여하는 교육분야 대표 전시회다. 행사장을 찾는 방문객이 4만 여명인데, 특히 올해는 교육과 AI의 만남을 주제로 해 더 많은 관심을 받았다. 그런데 넓은 행사장을 둘러봐도 특수교육대상 학생이나 느린학습자(경계선 지능)를 고려하고 배려한 학습도구를 소개하는 부스는 쉽게 눈에 띄지 않았다. 현장에 선 교사가 마주하는 ‘오늘의 교실’과 전시회에 나온 에듀테크 기업이 제시하는 ‘미래’ 사이에 간극이 있는 걸까. 공교육, 특히 초등교실은 한국 사회의 변화를 가장 앞서 마주하는 공간이다. 출생률 감소로 학령인구 수는 줄어드는데 이주배경 학생의 비율은 꾸준하게 늘고 있다. 신경다양성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자폐 스펙트럼,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읽기 장애를 일찍 발견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장애’로 명명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이유로 심리정서적 발달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도 늘고 있다. 실천교육교사모임이 2023년에 펴낸 책 <대한민국 교육, 광장에 서다>에서는 이 같은 교실의 변화를 한 장면으로 요약한다. 통계를 토대로 따져보면 초등학교 한 학급에 20명의 학생이 있다고 할 때 ▲다문화 학생(1명) ▲느린학습자 학생(3명) ▲특수교육대상 학생(1명) ▲ADHD 학생 (1명)이다. 사회가 변하니 교실에 모여 앉는 아이들의 구성이 변한다. 한 교실에 모인 아이들이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