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사회가 직면한 가장 큰 위기 중 하나는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이다. 이미 120곳이 넘는 지방이 ‘소멸 위기 지역’으로 분류됐고, 전체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절반 이상이 향후 30년 내 인구 소멸 위험군에 속한다. 농촌뿐 아니라 중소도시까지 인구가 급격히 줄며 학교·병원·기업이 사라지고, 지역 경제의 순환 구조 자체가 무너지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출산 장려, 청년 지원, 정주 여건 개선 등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효과는 제한적이다. 결국 선택지는 둘 중 하나다. 닫힌 공동체로 남아 쇠퇴할 것인가, 아니면 세계의 인재와 기업을 불러들여 새로운 활력을 창출할 것인가. 지금 필요한 것은 ‘열린 인구테크(Open Population-Tech)’ 전략이다. 해외 기업과 인재가 지역으로 들어와 정착하고, 이를 통해 지역이 다시 살아나는 구조적 전환이다. ◇ 한국의 현실, 그리고 기회 일본 후쿠오카시는 2014년, 일본 최초의 글로벌 창업·고용 창출 특구로 지정돼 외국인 창업자들이 몰려드는 생태계를 구축했다. 싱가포르는 월 소득 3만 싱가포르달러(한화 약 3000만원) 이상 고소득자나 예술·과학 분야의 우수 인재를 대상으로 한 장기체류비자(ONE Pass)를 운영한다. 5년간 유효하며 가족 동반 정주도 가능하다. 포르투갈 리스본은 세계 최대 스타트업 행사 ‘웹서밋(Web Summit)’을 통해 도시 브랜드 전략으로 삼았다. 매회 7만 명이 넘는 참관객과 수천 개의 스타트업, 투자자가 모이는 이 행사는 리스본을 글로벌 IT 허브로 끌어올렸다. 이처럼 인재와 기업 유치는 단순한 경제정책이 아니라, 도시와 지역의 생존 전략이 되고 있다.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인프라를 갖췄고, K-컬처의 브랜드 파워와 콘텐츠·바이오·제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