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트업의 성공은 단순한 기술력이나 아이디어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시대의 흐름을 읽고 시장 변화를 기회로 삼는 것이 필수적이다. 최근 인공지능(AI)이 모든 산업에 스며들었듯이, 향후 5년간 스타트업의 핵심 화두는 ‘인구테크’가 될 것이다. 인구테크란 인구구조 변화 속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는 개념으로, 식량전쟁, 기후변화, 헬스케어 등 사회문제를 정책적 해결을 넘어 스타트업이 혁신을 통해 직접 시장을 창출하는 접근 방식이다. 필자는 10년 전 대기업 연구원을 그만두고 창업을 결심하며 ‘스타트업’이라는 개념을 처음 접했다. 당시 생소했던 용어는 이제 누구나 아는 단어가 됐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스타트업이 방향을 찾지 못하고 좌초하고 있다. 무엇이 문제일까? ◇ AI는 이미 현실…다음은 ‘인구테크’다 최근 인공지능(AI)은 전 산업에 깊숙이 스며들며 더 이상 미래의 기술이 아닌 현실이 됐다. CES 2024가 ‘ALL ON’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AI의 무한한 가능성을 조명했다면, CES 2025에서는 AI가 이미 산업 전반에 자리 잡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한국 스타트업들에게 AI가 본격적인 비즈니스 기회로 떠오른 시점은 언제일까? 불과 5년 전이다. 2019년까지만 해도 컴퓨터공학과 교수들조차 졸업생들에게 “AI 분야는 3D 업종(힘든 일)이 될 것”이라며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을 정도였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AI 관련 학과와 기업이 급증했고, 정부도 AI의 산업 전반 확산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 이는 범정부 차원의 집중적인 노력이 뒷받침된 결과다. 물론 우리나라가 챗GPT, 딥시크 등 AI 관련 이슈 대응에서 미흡했다는 지적도 있지만, 단기간에 이루어진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DX)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