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어디서 죽을지 알면 좋겠다. 거기는 절대 안 갈 테니까.” 워런 버핏과 함께 지금의 버크셔 해서웨이를 이룩한 찰리 멍거의 말입니다. 바보 같은 일을 피하는 것이 똑똑한 일을 하는 것보다 우선되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단기간의 큰 수익을 좇으려다 돌이키기 힘든 실수를 범하지 않겠다는 그들의 투자 원칙이기도 합니다. 지역을 살리는 빠르고 가시적인 전략 중 하나가 관광입니다. 관광객을 위해 만든 공원, 문화재, 놀이시설 덕분에 주민의 삶이 즐겁습니다. 텅 빈 거리엔 생기가 돌고 소득과 일자리가 늘어납니다. 반면에 잘못 사용하면 지역을 망치는 도구가 됩니다. 관광객이 빠진 자리엔 공동화가 생기고 대기업이나 외지 자본이 부동산 거품을 만들기도 합니다. 이런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짧은 탐욕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인구 감소 지역에서는 관광객을 관계인구로 전환하기 위해 더 멀리 바라보아야 합니다. ◇ 시간과 공간 관광객의 체류 일수는 보통 2, 3일입니다. 주말을 이용해 하루 숙박을 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이 짧은 기간에 최고의 경험을 선사해야 합니다. 프리미엄 숙소와 잘 차려진 음식을 멋진 풍경과 함께 즐길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하여 1년에 한 번, 어쩌면 평생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경험이 되어야 합니다. 핫플레이스는 많이 만들수록 좋습니다. ‘인스타그래머블’은 여행지를 탐색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요소입니다. 사진 찍기 좋은 곳에는 바다 위를 걷는 듯한 스카이워크도 만들어야 합니다. 서울은 물론 전국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이국적인 느낌의 브루어리와 카페도 많아야 합니다. 그리하여 인플루언서가 주도하는, 누구나 한 번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