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미래] 불행은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 사이에…

오승훈 공익마케팅스쿨 대표

‘아이패드 병’이란 게 있습니다. 아이패드를 매우 사고 싶어 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애플펜슬로 사각사각 필기도 하고 그림도 그리는 모습을 상상하는 것이 주요 증상입니다. 아이패드병의 치료법은 오직 하나, 아이패드를 구매하는 것입니다. 저는 아이패드병이 심각해서 두 대나 갖고서야 완치되었습니다. 유튜브와 OTT를 볼 때 주로 사용합니다.

봉준호 감독이 어느 인터뷰에서 ‘어디든 갈 수 있는 일주일이 주어진다면 어디로 가겠느냐’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아이패드 하나 들고 구석진 카페에 가겠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시나리오가 그렇게 탄생했다는군요. 저에게 아이패드는 원하는 것이었고 봉준호 감독에겐 필요한 것이었습니다. 원하는 것을 필요한 것으로 합리화할 때 불행이 시작됩니다.

◇ 관광객과 생활인구

인구감소 지역은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싶어 합니다. 그래서 계절마다 지역 자원을 활용해 독특한 컨셉트의 축제를 엽니다. 둘레길을 개발하고 랜드마크도 건축합니다. 이런 관광객을 포함해 지역을 방문하거나 체류하는 사람, 거주하는 사람을 모두 포함해 생활인구라고 부릅니다.

지자체는 생활인구가 필요합니다. 올해부터 지방교부세 산정 기준이 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생활인구가 늘어나면 그만큼 중앙정부로부터 많은 예산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그 돈으로 출산과 육아도 지원하고 청년 창업도 지원하며 더 큰 축제도 열 수 있습니다. 그러니 생활인구를 가장 빨리 늘릴 수 있는 관광객 유치는 지역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입니다.

관광객 유치가 곧 인구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합리화는 경계해야 합니다. 전북 임실은 ‘임실N치즈축제’와 ‘임실산타축제’로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생활인구는 2018년 498만 명에서 2023년 853만 명으로 71% 증가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구는 10% 줄었고 지방소멸위험지수는 그때나 지금이나 0.12로 여전히 ‘소멸 고위험’지역입니다. 강원도 양양의 연간 방문객은 1600만 명, 평창은 1700만 명에 달합니다. 그럼에도 인구는 감소하고 소멸 고위험지역에 머물러 있습니다.

가고 싶은 지역과 살고 싶은 지역은 다르기 때문입니다. 관광객에게 필요한 것은 독특하고 고유한 콘텐츠이지만 지역민에게 필요한 것은 보편적이고 안정적인 생활 인프라입니다. 관광객은 인스타그램에 올리기 좋은 디저트카페가 필요하지만 지역민에게는 건강하고 가격 부담 없는 빵집이 필요합니다.

원하는 것만 추구하면 지역에 필요한 것은 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축제로 성공하면 더 크게 확대하고 싶습니다. 둘레길 방문객이 늘어나면 길을 연장하고 랜드마크도 짓고 싶습니다. 어쩌면 그 돈은 더 좋은 학교와 병원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며 아이를 낳고 키우기 좋은 곳을 만드는 데 쓰일 수도 있습니다.

◇ 토킹머신과 축음기 사이에서

1877년, 토머스 에디슨이 미국 특허청에 ‘Talking Machine’이라는 발명품을 출원하며 그 용도를 10가지로 제안했습니다.

1. 죽어가는 사람의 마지막 말을 보존
2. 시각 장애인을 위한 책 녹음
3. 시간 알림 장치
4. 철자법 교육
5. 음악 녹음 및 재생
6. 가족 구성원의 목소리 보존
7. 전화 메시지 기록
8. 언어 학습 도구
9. 음성 신호 저장 및 전송
10. 과학적 연구 및 실험 지원

‘토킹 머신’을 출시한 이후에 몇몇 기업가들이 이 기계를 이용해 동전을 넣으면 유행 음악이 나오는 주크박스를 만들었습니다. 에디슨은 발명품의 품격을 떨어뜨린다며 반대했습니다. 그로부터 20여 년이 흐른 후에야 에디슨은 ‘토킹 머신’의 주된 용도를 음악 재생이라고 인정했습니다. 토킹 머신은 우리가 알고 있는 축음기입니다.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은 사람과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에디슨에게는 10가지 용도의 토킹머신이 필요했고 대중들에겐 음악을 재생하는 축음기가 필요했습니다.

지역에는 관광 콘텐츠도 필요하고 생활 인프라와 일자리도 필요합니다. 그러나 관광객 유치가 곧 지역 인구의 증가로 이어진다는 합리화는 하지 않아야 합니다. 관광 자원은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하고 관광객의 소비는 지역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둘 다 만족시킬 수 있다면 좋겠지만 선택을 해야 한다면 주민이 되어야 합니다. 관광객이 우선이라면 지역은 머지않아 불 꺼진 놀이공원이 될 것입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은 종종 다를 수 있으며 지역의 행복은 그 사이에 있습니다. 지자체는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보다 장기적인 안목과 비전으로 지역에 필요한 일을 해야 합니다. 주민은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을 구별하고 선택하는 힘을 키워야 합니다. 때로는 필요한 것을 선택하기 위해 원하는 것을 포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인내는 쓰고 열매는 달다고 했습니다.

아이패드로 유튜브만 보다 처음으로 글을 써보니 불편하기 그지없습니다. 이제서야 아이패드병이 제대로 완치된 것 같습니다.

오승훈 공익마케팅스쿨 대표

필자 소개

마케팅은 더 많은 사람을 위해 쓰여야 한다는 믿음으로 ‘지역의 미래’를 탐구하는 오래된 마케터입니다. 현재 공익마케팅스쿨 대표이자 공익 싱크탱크 그룹 ‘더미래솔루션랩’의 전문위원으로, 공익 마케팅 전략과 지역경제 정책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주요 저서로는 ‘슬리퍼 신은 경제학’이 있습니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