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동은 단순한 편리함의 차원이 아니라 권리의 문제입니다. 이동권이 보장되지 않는 사회에서는 교육·의료·경제 활동이 결코 공평하게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필자가 국제개발협력 현장에서 일할 당시, 개발도상국 도서 지역 주민들의 빈곤은 단순히 소득 부족 때문만이 아니었습니다. 농산물을 시장에 팔러 나갈 수 없고, 농자재를 구하기도 어려우며, 아이들은 학교에 다니기 힘들고, 아파도 병원으로 갈 길이 막혀 있었습니다. 이동의 단절은 곧 삶의 질 저하이자 생존의 위협이었습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도 이동 문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이동성은 단순한 접근성을 넘어 안전, 탄소중립, 교통약자 포용, 지역 연결성 등 복합적 과제를 포함합니다. 특히 고령자, 장애인, 어린이와 같은 교통약자에게 이동은 사회 참여와 권리 보장의 기본 전제입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교통약자는 전체 인구의 29.6%(2022)에 이릅니다. 그러나 저상버스 보급률은 전국 평균 28%, 농촌 지역은 10%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교통 인프라의 격차가 곧 권리의 격차로 이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교통은 기후위기와 직결됩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전 세계 에너지 관련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24%가 교통 부문에서 발생한다고 밝혔습니다(2023). 그중 도로 교통이 75% 이상을 차지합니다. 한국의 경우 교통 부문은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3.5%를 차지하며(환경부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 2023), 산업화 이후 꾸준히 증가해 왔습니다. 따라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모빌리티 전환은 불가피한 과제입니다. ◇ 임팩트 모빌리티, 국내외에서 변화를 일으키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다양한 ‘임팩트 모빌리티’가 사회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활동하는 지플라인(Zipline)은 드론으로 혈액과 의약품을 긴급 수송하며 의료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유럽의 블라블라카(BlaBlaCar)는 카풀 플랫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