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비영리단체들이 갈수록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이하 공동모금회) 공모 사업을 꺼린다. 불필요한 행정 처리에 인력과 리소스를 낭비하게 되기 때문이다. 절차상 비효율적인 걸 투명하다고 볼 순 없다.” “공동모금회가 다른 비영리단체들과 모금 경쟁을 하는 모양새다. 오히려 배분 전문성을 키워 단체별 역량과 차별점을 연구·분석하고, 우리나라의 나눔 문화 확산을 위한 고민에 앞장서야 하는 게 아닐까.” 지난달 말, 국내 비영리단체 대표들이 기부문화선진화포럼 소속 국회의원들과 함께 저녁식사를 하는 자리에서 공동모금회에 대한 이 같은 비판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수면 아래에 묵혀져 왔던 공동모금회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온 것이다. 공동모금회는 1년에 5000억원 이상 모금하는 국내 사회복지계의 ‘맏형’이다. 하지만 1998년 모금회가 생기던 초창기, 국내 나눔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정부의 사회복지 사업 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던 초기 목적에서 벗어나 ‘배분받는 비영리단체의 갑(甲)’이자 ‘민간 모금을 싹쓸이하는 공룡’이라는 비판 목소리도 높다. 한 대형 모금단체 관계자는 “예전부터 한 대기업과 파트너로 사업을 계속해오고 있었는데, 갑자기 모금회가 끼어들어 기업은 모금회에 기부금을 주고, 우리는 모금회로부터 사업비를 받는 구조로 바뀌면서 하는 일은 똑같은데 서류와 행정 절차만 복잡해졌다”고 말했다. 배분 진행이 더뎌 불만이 있는 경우도 있다. 한 기업 관계자는 “기업에서 조촐하게 행사를 치르고 남은 기부금을 모금회에 기부한 후 희귀 난치성 질환 환아 지원을 위해 쓰고 싶다고 했는데, 배분 기관 지정이 느려 1년 넘게 돈이 쌓여만 있었다”며 “불만이 있어도 배분 담당자가 몇 명 없다 보니 재촉하기도 부담스러웠다”고 말했다. 유연성이 부족하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