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투데이·트위터·페이스북 등 SNS 활용한 NGO 활동 급증… 굿네이버스의 경우 작년比 기부참여율 140% 증가 후원 아동 사진·편지 전송… NGO 단체, 다양한 서비스 선보여 피스캥: 키르기스스탄 딸내미는 3년 정도 됐고요. 인천 딸내미는 몇 개월 됐습니다. kjykjy88: 우와 멋져요. 저도 얼른 사회인이 되어서 아들 딸 많이 보살펴주고 싶네요. ^^ 기아대책: 너무 훈훈한 모녀지간^^. 다음에 에피소드 있으면 들려주세요. 피스캥은 누구이고, 딸은 왜 키르기스스탄에도 있고 인천에도 있다는 것일까. 어째서 kjykjy88은 피스캥을 부러워하는 것일까. 이해할 수 없는 대화라고 얼굴을 찡그릴 필요는 없다. 이 대화는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일종인 ‘미투데이’에서 이뤄진 것이다. 피스캥은 기아대책에서 진행하고 있는 어린이 일대일 결연 프로그램을 통해 키르기스스탄에 있는 한 아이를 후원하고 있다. kjykjy88은 그런 피스캥을 부러워하며 사회인이 되면 힘든 처지에 있는 아이들을 돕고 싶다는 꿈을 밝힌 것이다. 기아대책은 요즘 신이 났다. 예전엔 홍보나 모금을 위해 직원들이 백방으로 뛰어다녀야 했는데, 요즘은 후원자들이 자신의 블로그나 트위터를 활용해 기아대책의 활동을 자발적으로 홍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아대책의 후원자들은 해외의 현장에서 온 기아대책 트위터의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받아보며 이를 주위의 지인들에게 전파해 후원 참여를 독려한다. SNS의 대명사 격인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블로그 덕에 쉽고 빠른 모금이 가능해져서, 올해는 단 두 달 만의 모금으로 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의 마을에 우물을 하나씩 선사할 수 있게 됐다. 비단 기아대책만 그런 것이 아니다. 최근 NGO에는 SNS 바람이 불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