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8일(목)

‘뜨거운 마음의 과학’이 세상을 따뜻하게 만든다

적정기술 역사와 현주소

미상_그래픽_적정기술_5단계프로세스_2010과학과 기술은 차갑고 날카로운 머리로 하는 줄로만 알았는데, 뜨거운 마음으로 하는 과학과 기술이 있다. 바로 저개발국·저소득층의 빈곤 퇴치, 지역사회 개발, 삶의 질 향상 등을 위해 개발된 기술인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다. 땡볕 아래 물을 길러 수 ㎞를 걷는 아프리카 아이들에 대한 사랑에서 개발된 타이어 모양의 물통(Q-Drum), 가난한 아프리카 농부들을 위한 족동식(足動式) 펌프 등이 대표적인 예다.

적정기술의 시작은 192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물레를 사용한 수작업 방직 기술이 당시 가난한 인도인들의 삶을 개선하는 ‘적정’한 기술이었다. 본격적으로 적정기술에 대해 논의하게 된 것은 1970년대 이후다. E.F.슈마허는 그의 저서 ‘작은 것이 아름답다'(1973)에서 저개발국가를 위한 기술을 강조했다. 그는 적정기술로 가난한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프랙티컬 액션(Practical Action)이라는 단체를 직접 설립해 나눔을 실천했다. 이 단체는 현재 100여개 프로젝트를 진행, 52만명 이상이 혜택을 누리고 있다. 빈곤퇴치의 사명으로 세워진 킥스타트(Kick Start) 역시 적정기술 관련 단체다. 지역의 빈곤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적정기술 제품 개발 및 사업화를 통해 아프리카의 가난한 농부들을 돕는다. 족동식 펌프가 킥스타트의 대표적 제품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이러한 적정기술을 통한 국제 원조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국제구호개발 NGO인 굿네이버스다. 작년부터 몽골·차드 등지에서 본격적으로 적정기술을 통한 개발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몽골의 경우, 올 하반기 적정기술 제품 ‘G-Saver’를 생산·유통·판매하는 사회적 기업을 세워 일자리 창출과 수익환원을 도모할 계획이다. 아프리카 차드에서는 특허청과 과학자들의 모임인 사단법인 ‘나눔과기술’과 함께 망고를 건조시키는 기술, 사탕수수로 숯을 만드는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적정기술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사)나눔과기술은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과 사명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됐다. 과학기술 전문성을 사용하여 세계의 어려운 이웃에게 필요한 적정기술을 보급하며,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나눔의 정신이 담긴 과학기술 문화를 확산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매년 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 및 아카데미도 개최한다. 한밭대학교 화학공학과 홍성욱 교수(46)는 “파괴하는 과학이 아닌, 사람을 살리고 삶을 변화시키는 과학으로 나눔을 실천하는 것은 우리 과학자들의 책임”이라며 적정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사람을 살리는 과학과 기술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한밭대학교 학생들과 홍성욱 교수. 아프리카 차드 사람들을 위해 사탕수수로 숯을 만드는 ‘적정기술’ 프로젝트로 더운 여름, 굵지만 가치 있는 땀방울을 흘린다.
사람을 살리는 과학과 기술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한밭대학교 학생들과 홍성욱 교수. 아프리카 차드 사람들을 위해 사탕수수로 숯을 만드는 ‘적정기술’ 프로젝트로 더운 여름, 굵지만 가치 있는 땀방울을 흘린다.

아예 적정기술 학회를 만들어 방학마다 현지를 오가며 나눔을 실천하는 곳도 있다. 한동대학교 그린적정기술협력센터장 한윤식(54·전산전자공학부) 교수는 방학마다 적정기술 학회 ‘CRAIST90%’ 학생들과 태국·인도를 오가며 학기 중에 연구·개발한 적정기술 제품으로 봉사한다.

“처음엔 별 관심 없던 현지인들이 이제는 먼저 다가와서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어떤 기술이 필요한지 적극적으로 얘기해줍니다. 그들에게 가장 필요한 기술을 개발한다는 것에 과학자로서의 뿌듯함을 느낍니다.” 그는 25일 온수난방 기술과 흙벽돌 제조기술 등을 들고 태국으로 떠났다. 이번 여름, 그의 기술로 많은 사람이 행복할 것이다.

‘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에서 은상을 수상한 한밭대 정미진(23)씨는 “적정기술이 과학자들만의 영역이 아니라, 모든 학문과 직업 분야에서 자신의 재능을 나누는 나눔으로 의미가 확장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