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성·진취성·위험감수성 키운다…‘아산 유스프러너’ 효과성 연구 발표

참여 학생 8개 역량 성장·지역 격차 해소 기여

아산나눔재단(이사장 엄윤미)이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아산 유스프러너’의 효과를 분석한 ‘2024 아산 유스프러너 효과성 연구 요약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연세대 교육학과 연구팀과 함께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성과를 정량·정성적으로 검증한 결과를 담았다.

분석에 따르면 아산 유스프러너 참여 학생은 비참여 학생보다 혁신성·진취성·위험감수성 등 8개 핵심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장을 보였다. 수업 전후 비교 결과, 각 역량에서 0.3~0.7 수준의 표준화 성장지수 차이가 나타나, 프로그램이 실제 역량 강화에 기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기업가정신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성과를 발표하는 ‘데모데이’ 과정은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보여줬다. 데모데이를 경험한 학생들의 혁신성·위험감수성·진취성 지표는 시간 흐름에 따라 뚜렷한 상승세를 그렸으며, 중학생 집단에서는 ‘혁신성’ 성장폭이 가장 컸다.

교육 접근성이 낮은 읍면 지역 학생과 지역거점학교 소속 학생에게서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 점도 눈에 띈다. 연구진은 “맞춤형 접근의 필요성과 효과가 동시에 드러났다”며 “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외에도 연구에서 아산 유스프러너 참여 학생과 교사 및 강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정성적 인터뷰에서는 ‘기업가로 살아보는 경험’, ‘수많은 어려움과 실패를 마주하는 경험’,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는 과정’ 등이 기업가정신 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반영하는 핵심 키워드로 언급되었다. 특히 실패를 과정으로 받아들이는 태도 변화가 두드러져,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산나눔재단은 이번 보고서와 함께 지난 7월 열린 ‘아산 유스프러너 데모데이’의 인기 전시 ‘실패박물관’ 도록도 공개했다. 학생들이 프로젝트 과정에서 겪은 다양한 실패 사례를 모은 자료집으로, 실패를 성장의 자원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담았다.

이영빈 아산나눔재단 기업가정신팀장은 “이번 연구는 기업가정신이 소수의 특권이 아니라 누구나 교육을 통해 기를 수 있는 역량임을 보여준다”며 “더 많은 청소년이 삶을 주도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교육 모델을 정교하게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