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립·은둔 청년 위한 韓·日 비영리 조직 교류 현장 한국, 청년 일자리 문제 속 고립 문제 커져가 “저는 스키마바이트를 자주 해서 ‘타미이(Timee)’ 앱에서 마스터 레벨을 받았어요.” 일본 청년 토씨(21)는 짧은 일자리 경험을 웃으며 이야기했다. ‘스키마바이트’는 ‘틈새’(スキマ)와 아르바이트의 합성어로, 1시간~하루 단위로 일하는 초단기 아르바이트다.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한일 청년 교류 행사. 한국의 청년 지원 비영리단체 ‘니트생활자’와 일본의 ‘소다테아게넷’이 공동 주최한 이 자리에선 두 나라 청년들의 일자리 고민과 삶의 방식이 자연스럽게 교차했다. 일본 청년 아야에(28)가 “짐 나르는 스키마바이트를 했는데, 모두 말없이 일하는 모습이 기계 같았다”고 말하자, 한국 청년들은 “그거 쿠팡이랑 똑같다”고 외쳤다. 일본 앱의 ‘마스터 레벨’이 임금 상승과 연결되는지를 묻자 “아직은 아니다”는 답도 돌아왔다. 토씨는 “매번 새로운 사람들과 일하는 건 스트레스지만, 원하는 만큼 일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일본에선 “굳이 안정적인 직업이 없어도 된다”는 인식도 늘고 있다는 말에, 한국 청년들의 표정은 사뭇 진지해졌다. ◇ 청년이 자기만의 일자리 찾도록 돕는 韓-日 비영리단체 한국의 비영리단체 니트생활자는 가상의 회사 ‘니트컴퍼니’를 운영한다. 청년들은 이곳에서 청소, 독서 등 간단한 ‘자체 업무일과’를 수행하며, 온라인으로 출퇴근 기록을 남긴다. 구성원 간 소속감을 높이기 위한 주간회의와 사내 봉사활동 등도 함께 진행된다. 이 모든 프로그램은 청년들이 ‘무업 기간’을 혼자가 아닌 공동체 속에서 안정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니트컴퍼니’라는 이름은 일본 도서 ‘극락컴퍼니’에서 따왔다. 은퇴자들이 가상의 회사를 만들어 일상을 회복해 나가는 이야기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