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킹맘의 무덤이라 불리는 여덟 살 학부모의 세계로 진입했다. 예비 소집일에 돌봄교실 안내문을 받고 적잖이 당황했다. 과밀학급임에도 전 학년 기준 돌봄교실은 딱 두 반, 우선순위 대상을 읽으며 애초에 기대를 접었다. 돌봄교실과 병행할 수 있는 방과 후 수업의 평균 경쟁률은 5대1. 갑작스런 휴강이나 학교를 마치고 생기는 공백에 대한 변수는 불안으로 번졌다. 직접 돌보거나, 맡기거나. 아이의 이동 동선에 맞춰 안전을 책임질 학원 선생님을 연결하는 건 양육자 개인의 몫이었다. 새벽 기차를 타고 미팅에 나서는 경우를 대비해 촘촘하고 전략적인 방과 후 스케줄이 필요했다. 허리띠를 졸라 아이 사교육에 헌신한 부모가 노년에 빈곤을 겪는 현실을 목도하면서도 막상 당사자가 돼보니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 초등은 100만원, 중등은 200만원, 고등은 300만원이라는 사교육비 지형도가 드라마 속의 이야기가 아니었다. 인근의 태권도, 미술, 피아노 학원은 학교를 대신해 돌봄을 담당해 온 오랜 성지였다. 점심시간을 반납하고 교문 앞에서 아이를 기다리는 워킹맘도 여럿. 엄마와 학원 선생님의 손을 잡고 학원으로 떠나는 아이들의 거대한 밀물과 썰물 사이로 교정에 고요가 찾아왔다. 다른 나라의 사정은 어떨까. 포포포 매거진 오픈채팅방에서 프랑스 통신원으로 활약하는 민영님을 줌으로 만났다. 프랑스의 돌봄교실은 누구나 저렴하게 필요할 때마다 신청할 수 있다. 아이들은 추워도 비가 와도 쉬는 시간이면 무조건 교실 밖으로 나가 뛰어논다.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썽트르 루아지르’라는 별도의 기관도 존재한다. 반면, 한국의 돌봄교실은 여전히 맞벌이 가정이나 저소득층을 위한 서비스로 기능한다. 안전상의 이유로 돌봄의 영역은 교실 안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