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인순이·이상엽 교수·‘추적’ 제작진, 올해의 ‘세밝사’

환경재단, 11일 창립 23주년 기념식서 시상 예정

환경재단이 ‘제18회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수상자를 발표했다. 올해는 우원식 국회의장, 가수 인순이, 이상엽 KAIST 특훈교수 겸 연구부총장, 다큐멘터리 영화 ‘추적’ 제작진이 선정됐다.

(왼쪽부터)제18회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수상자로는‘사회 부문’에 우원식 국회의장, ‘문화예술 부문’에 가수 인순이, ‘연구 부문’에 이상엽 KAIST 특훈교수 겸 연구부총장이 선정됐다. /환경재단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은 환경·사회·연구·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긍정적 변화를 이끈 개인과 단체를 격려하는 시상 프로그램으로, 2005년 시작돼 올해로 18회를 맞았다. 지금까지 한강 작가, 봉준호 감독, 이국종 교수 등 551명(팀)이 수상했다.

수상자는 시민 추천을 바탕으로 환경재단과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공정성·사회적 신뢰 등을 기준으로 선정했다. 시상식은 오는 11일 서울 더플라자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리는 환경재단 창립 23주년 기념 ‘후원의 밤’에서 진행된다.

사회 부문 수상자인 우원식 국회의장은 기후위기 대응과 민생경제 회복을 중심으로 한 정책 활동에 주력해 왔다. 그는 ‘국회 기후위기 비상 자문위원회’ 출범과 ‘2035 탄소중립 국회 실현 로드맵’ 수립을 통해 국가 차원의 탄소중립 거버넌스를 구축했다고 평가된다. 또한 성평등 조직문화 조성과 민주주의 수호 관련 입법 활동 등이 높이 평가됐다.

문화예술 부문을 수상한 가수 인순이는 ‘거위의 꿈’ 등 음악 활동을 통해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왔으며, 2013년 설립한 ‘해밀학교’를 통해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학생이 함께 생활하는 기숙형 대안교육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담사 자격 취득을 통해 청소년 정서 지원 활동도 이어가고 있다.

연구 부문 수상자인 이상엽 KAIST 특훈교수는 합성생물학·대사공학 분야에서 ‘시스템 대사공학’을 정립하며 생분해성 소재·연료·화학제품 등을 미생물 대사 경로 조절을 통해 생산하는 대체 기술을 개발해왔다. 790편 이상의 논문, 860건의 특허 보유 실적을 바탕으로 바이오경제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환경 부문에서는 다큐멘터리 영화 ‘추적’ 제작진이 선정됐다. 제작진은 17년간 4대강 사업의 환경·생태·지역사회 영향을 기록하며 잊혀진 이슈를 다시 공론의 장으로 끌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4대강 사업의 이면을 기록해온 다큐멘터리 영화 ‘추척’ 제작진은 제18회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애서 ‘환경 부문’을 수상했다. /환경재단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은 “수상자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지속적인 변화를 만들어온 분들”이라며 “이러한 실천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재단은 같은 날 ‘창립 23주년 기념 후원의 밤’을 개최한다. 행사에는 후원자와 시민사회 관계자 등 400여 명이 참석하며, ‘이세중 추모사진집’ 발간 보고, 특별공로상 시상, 활동 영상 상영, 장사익 음악 공연 등이 진행된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