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빈티지 의류의 재탄생…윤경덕 디자이너의 ‘업사이클 패션’ 도전기

LG화학·기아대책 ‘그린톡’서 업사이클 패션 소개 “학교를 졸업한 뒤 집에 있던 바지 두 개를 섞어 새 옷을 만든 경험이 업사이클링에 대한 관심의 출발점이었습니다.” 윤경덕 디자이너가 ESG 교육 플랫폼 ‘그린톡’의 인터뷰 코너 ‘대담해’에서 ‘지속가능한 패션’을 주제로 대담을 진행하며 말했다. 윤 디자이너는 빈티지

이재명 대통령에 공개서한…“글로벌펀드 2억弗 공여 약속하라”

G7 정상회의 앞두고 글로벌보건 시민사회 587명 공개서한 “新정부 국제 리더십 보여줄 적기” 오는 15일 열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첫 G7 정상회의 참석을 앞두고 전 세계 46개국 587명의 글로벌보건 시민사회 관계자들이 한국 정부에 ‘글로벌펀드(Global Fund)’ 2억 달러(약 2730억원) 조기 공여를 요청하고 나섰다.

코이카, 네팔에 친환경 프로젝트 위한 500억원 ‘녹색채권’ 발행

기후변화 대응 위한 금융혁신 모델 제시…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협력 강화 코이카는 지난 10일 네팔 수도 카트만두 야크앤예티 호텔에서 글로벌녹색성장기구(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GGGI), 네팔 인프라은행(Nepal Infrastructure Bank Limited, NIFRA)과 함께 녹색채권 발행 기념행사를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녹색채권은 재생에너지 개발, 친환경

[단독] 러쉬코리아, PR팀 ‘윤리 전담팀’ 산하로 이관…브랜드 철학 소통 강화

글로벌 반(反) ESG·DEI 흐름 속 ‘가치 중심 소통’ 행보 배쓰밤 이름도 다양성·형평성·포용성으로 변경 러쉬코리아가 브랜드 운영 전반에서 윤리와 다양성·형평성·포용성(이하 DEI) 가치를 적극적으로 강화한다.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반(反) ESG·DEI 움직임이 확산되는 가운데, 오히려 브랜드 철학과 가치 중심 소통을 전면에 내세우겠다는

ESG 전략, 이젠 실행이다…임팩트온, 창간 5주년 기념 포럼 개최

ESG 선언에서 실행으로…조직·전략·데이터 실전 사례 공유이사회 리더십부터 탄소 감축 전략까지 글로벌 인사이트 집중 조명 ESG 전문 미디어 임팩트온이 창간 5주년을 맞아 오는 6월 18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ON 포럼 2025 – ESG 리밸런싱, 생존과 경쟁우위를 향한 전략적 선택’을 개최한다. 이재명

[돌봄의 재발견] 아이만 돌보는 건 아닙니다

‘가족친화적’ 혹은 ‘돌봄 친화적’ 직장을 상상해 보라 하면 많은 이들이 비슷한 장면을 떠올린다. 아이들이 회사에 방문해 마스코트 인형과 사진을 찍고, 놀이공원을 대관해 패밀리데이를 열기도 한다. 알록달록하고 따뜻한 풍경이다. 그러나 현실에서 많은 이들이 감당하는 돌봄은 훨씬 다양하고 조용하며 복잡하다. 루트임팩트는 지난

“재생에너지, 국민도 지지했다”…이재명 정부 정책 추진 탄력받나

전기요금 인상에도 절반 이상 “탄소중립 정책 수용” 의향 국민 다수 “에너지 전환, 공정한 부담 원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4일 취임사에서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세계적 흐름에 발맞춰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로 신속히 전환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국민 10명 중 9명 이상이 재생에너지 확대에 찬성한다는

코이카-UN, 브라질 COP30 무대 오를 ‘기후 AI 아이디어’ 모집

대학생 등 일반인, AI 개발자, 기업 등 대상…우승자, 11월 COP30 초청 코이카(KOICA‧한국국제협력단)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과 함께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AI 기술 국제 공모전 ‘AI for Climate Action Awards(이하 AICA 어워즈)’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5월 21일 기후 주간(Climate Week) 행사 개회식에서

챗봇이 참전용사 소개하고, 메타버스서 바다숲 만든다 [2025 사회공헌 리포트]

[창간 15주년 특별 기획] 국내 30대 기업 대표 사회공헌 조사 <5·끝> 기술, 나눔의 방식도 바꾸다…디지털 전환에 발맞춘 사회공헌 프로그램  기술은 사회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가. 지난 15년간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신기술의 발전은 산업은 물론 교육, 복지, 환경 영역의 지형을 바꿔놨다.

굿즈가 ‘기부’를 ‘교환’으로 왜곡하지 않으려면

굿즈의 시대, 기부를 다시 묻다 <5·끝> 비영리단체 굿즈, 중고거래·모조품까지 등장 “사업력보다 굿즈가 중심 되는 건 문제” 성찰의 목소리도 “저희한테 물어보거든요. ‘K기관은 뭐 주세요?’ 이렇게 말하고 후원을 결정하신 분들 가끔 있으세요. ‘B기관은 이거 준다고 했는데 여기는 뭐 없네요’라고 말씀하시면…” 비영리단체 활동가

“굿즈 받고 떠난다?”…지속가능하려면 전략이 필요하다

굿즈의 시대, 기부를 다시 묻다 <4> 단체별 유지율 높이기 전략 고도화, 업계 가이드라인 마련 목소리 커져 “굿즈 캠페인을 통해 신규 후원자는 확실히 늘었습니다. 하지만 일정 비율은 굿즈 수령 후 곧바로 후원을 중단합니다. 모금 담당자로서 고민이 클 수 밖에 없죠.” 2020년부터

이재명 정부, 기후재정·세액공제 확대 나설까

기후재정포럼·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8대 정책과제 제안 “탄소중립계획 엉터리 수준…기후재정 컨트롤타워 필요” 기후재정포럼(2020재단·녹색전환연구소)과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는 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5 새 정부에 제안하는 기후재정 방향’ 보고서를 공개했다. 두 기관은 국가 재정의 기후 대응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며 ▲기후재정계획 수립 ▲기후대응기금 20조원 확대 ▲온실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