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장 모델인 배우 박은빈은 지난 18일 대만 다카시마야 백화점 정관장 매장에서 팬 사인회를 열었다. /KGC인삼공사
대만서 ‘K홍삼’ 인기… 모델 박은빈 현지 팬미팅

정관장은 지난달 대만에서 출시한 ‘고려삼정에브리타임 요(柚)’가 현지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대만은 지난해 기준 전체 인구의 17.6%가 65세 이상인 고령사회다. 2025년에는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 인구비율이 높아지면서 대만의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대만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924억 대만달러(약 3조7600억원)로 전년보다 4.4% 증가했다. 2024년에는 시장 규모가 1000억 대만달러(약 4조670억원)를 돌파할 전망이다. 최근에는 건강기능식품의 소비자 연령의 39%가 25~40세로 젊은 소비자 비율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고려삼정에브리타임 요(柚)’는 일상에서 간편하게 면역관리를 할 수 있는 국내 제품 ‘홍삼정에브리타임’을 대만인 입맛에 맞게 현지화한 제품이다. 자몽을 더해 2030 여성 입맛을 공략했다. 정관장은 2009년 대만에 처음 진출해 ‘홍삼 대중화’를 이끌었다. 면역력에 관심이 많은 대만에서는 한국 ‘홍삼정에브리타임’과 동일한 제품인 ‘고려삼정에브리타임’의 판매량이 특히 높다. 지난 10월에는 2030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자몽맛 ‘고려삼정에브리타임 요(柚)’를 출시했다. 지난 18일 정관장 모델인 배우 박은빈은 7년 만에 대만을 방문해 다카시마야 백화점 정관장 매장에서 ‘정관장, 면역력의 근본’ 브랜드 행사를 진행했다. 박은빈은 최근 방영 중인 “tvN 드라마 ‘무인도의 디바’ 촬영과 다른 활동을 병행하면서 정관장 ‘홍삼정에브리타임’으로 건강관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만 현지 주요 매체 인터뷰, 팬 사인회도 진행됐다. KGC인삼공사 관계자는 “‘고려삼정에브리타임 요(柚)’에 대한 높은 관심에 보답하기 위해 배우 박은빈의 팬 사인회를 기획했다”고 말했다. 최지은 기자 bloomy@chosun.com

정관장, 가정의달 신제품 2종 출시

정관장은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에브리타임밸러스 전하는진심 에디션’과 ‘활기력 슈퍼히어로박스’ 신제품 2종을 출시했다. ‘에브리타임밸런스 전하는진심 에디션’은 왕의 서재를 디자인에 담아낸 고품격 에디션이다. 스승의 날(5월 15일)이 민족의 스승격인 세종대왕 탄신일에서 비롯됐다는 데서 착안했다. KGC 인삼공사 관계자는 “‘전하는진심 에디션’에는 ‘진심을 전한다’는 뜻과 왕을 의미하는 ‘전하’의 뜻이 함께 담겼다”며 “은사, 멘토 등에게 선물하기 좋은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에브리타임밸런스’는 식약처로부터 면역력 증진, 피로 개선, 기억력 개선, 혈액흐름 개선, 항산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건강기능식품이다. 6년근 홍삼농축액에 감초추출물, 프로폴리스 등의 부원료로 풍미를 더해 홍삼 입문자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다. ‘활기력 슈퍼히어로박스’는 에너지 충전이 필요한 순간에 빠르게 활력을 되찾을 수 있는 한정판 에디션이다. ‘정관장 활기력’과 위너브라더스의 DC코믹스 슈퍼히어로의 콘셉트를 디자인에도 반영했다. 산뜻한 노란색 패키지에 배트맨, 슈퍼맨, 플래시 등 DC 코믹스의 인기 캐릭터를 그려 역동적인 활기력의 특성을 나타냈다. 제품에 동봉된 슈퍼히어로 스티커는 휴대폰케이스, 노트북 등 소품을 꾸미는 데 활용할 수 있다. ‘활기력 슈퍼히어로박스’에 담긴 ‘활기력’은 6년근 홍삼농축액에 생강, 대추, 구기자, 오미자, 황기 등 전통소재와 비타민 B·C를 배합한 앰플형 건강 드링크다. 한 병 섭취로 기력을 보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섭취가 간편하고 디자인 콘셉트가 독특해 젊은 층 사이에서 특히 인기를 끌고 있다. ‘에브리타임밸러스 전하는진심 에디션’과 ‘활기력 슈퍼히어로박스’ 모두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통해 간편하게 구입, 선물할 수 있다. ‘활기력 에너지박스’ ‘활기력 JOY’ ‘활기력부스터박스’ 등은 카카오톡 선물하기에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한국ESG학회
한국ESG학회, ‘제2회 세계 ESG 포럼’ 개최

한국ESG학회는 오는 5일까지 ‘제2회 세계 ESG 포럼’을 제주 파르나스호텔에서 개최한다. 지난 1일부터 닷새간 진행되는 이번 포럼의 대주제는 ‘ESG에 기반한 인간의 존엄성’이다. 국내외 학자와 정부 관계자, 기업인, 언론인 150여 명이 참석해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본 ESG 실천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세부적으로는 ▲ESG 평가에 대한 융합적 조명 ▲ESG와 예술 ▲ESG와 여가활동 ▲ESG와 네트워킹 등 9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고문현 한국ESG학회장은 “OECD 경제규모 10위권인 우리나라가 무역장벽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수출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ESG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며 “이번 포럼이 산업 전반에 ESG를 확산하고 적용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국ESG학회는 환경학, 사회학, 경영학, 생물학 등 ESG와 관련된 학문의 연구와 응용을 지원해 우리나라 ESG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지난 2021년 설립됐다. 2021년 9월 열린 ‘제1회 세계 ESG 포럼’ 주제는 ‘기후재앙의 시대, ESG로 대응하자’였다. 최지은 기자 bloomy@chosun.com

경기 연천군에 있는 재인 폭포 모습. /연천군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연천 재인폭포’ 한국관광 100선 선정

경기 연천군은 지역 대표 관광 명소인 연천 재인폭포가 ‘2023-2024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한국관광 100선’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외국인 관광객과 우리 국민이 꼭 가봐야 할 한국 대표 관광지를 2년에 한 번씩 선정해 홍보하는 사업으로 올해 6회째를 맞았다. 연천 재인폭포 공원은 2020년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선정된 대표적인 지질 명소다. 연천군에 따르면 다른 지역에서 보기 어려운 현무암 주상절리 사이로 떨어지는 폭포를 구경하러 지난해 약 50만명이 이곳을 방문했다. 한탄강을 따라 약 6만㎡ 규모의 생태공원으로 조성된 재인폭포 공원은 크게 상록원, 버드나무원, 보라원, 암석원 등 4개의 테마로 나뉘어 있다. 상록원에선 겨울과 봄엔 청보리를, 여름과 가을엔 황화코스모스를 즐길 수 있다. 각종 자생하는 버드나무 군락이 있는 버드나무원에선 샤스타데이지와 구절초도 볼 수 있다. 여름과 가을에 보라원을 방문하면 보랏빛으로 피어난 버들마편초를 구경할 수 있다. 암석원에는 한탄강 지질공원 내 분포한 약 30여종의 각종 암석이 전시돼 있다. 연천군은 재인폭포 공원에 다양한 문화 공연도 펼치고 있다. 지난 10월 진행한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전통 줄타기 이수자들과 함께한 줄타기 공연과 LED 조명을 이용한 미디어파사드 전시 등 이 대표적이다. 아울러 ‘재인폭포 풀마켓’도 또 하나의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풀마켓에선 연천군의 공예품, 농특산품을 구매할 수 있고 관광객을 위한 푸드트럭도 상설로 운영되고 있다. 연천군 관계자는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된 연천 재인폭포를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거듭날 수 있도록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백지원 더나은미래 기자 100g1@chosun.com

서울 영등포구 신한투자증권 본사. /신한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지속가능한 기업 생태계’ 조성에 시동건다

ESG 선도 기업으로 손꼽히는 신한투자증권이 우리 사회 전반에 ‘ESG 가치’를 확산하기 위한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에만 1000억원 규모의 ESG 채권을 발행하는 등 금융사의 강점을 살려 환경·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ESG 가치를 확산하기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지난달 16일 ‘제1회 신한투자증권 ESG 포럼’을 개최했다. 이 포럼에는 85개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최고재무책임자(CFO), ESG 관련 부서 실무진 등 120여 명이 참석했다. 1부에서는 ESG 활성화를 위한 핵심성과지표(KPI)에 대한 전문가 발표가 진행됐다. 2부에서는 기업들이 Scope3(밸류체인에서 발생하는 간접 온실가스 배출)를 관리해 ESG 지표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신한투자증권 관계자는 “ESG 정보공시 의무화 등 전 세계적으로 ESG가 빠르게 제도화되고 있다”며 “기업들이 ESG 방향을 설정하고 경영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포럼을 앞으로도 꾸준히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난해에는 신한투자증권 리서치센터와 협업해 국내 주요 기업의 ESG 경영 계획을 담은 ‘뉴 패러다임’ 시리즈를 발간하기도 했다. ESG 이슈와 ESG 채권 및 대체투자, 산업별 ESG 영향 등을 자세히 소개했다. 이 밖에도 사회혁신 스타트업과 사회적기업에 투자하는 등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지원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이영창 신한투자증권 대표는 “불확실한 글로벌 경제 상황 속에서 우리 사회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금융’이라는 본업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지은 더나은미래 기자 bloomy@chosun.com

KGC인삼공사, 국내 기업 최초 ‘색채상표권’ 등록

KGC인삼공사가 최근 특허청으로부터 색채상표권 등록 결정을 받았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등록된 색채상표권은 정관장 주요 제품에 적용되는 색채 조합이다. 적색 상단과 흑색 하단, 금색 테두리로 구성됐다. 상표란, 특정 상품을 다른 상품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장이다. 과거에는 기호, 문자, 도형으로 구성된 브랜드 로고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입체, 소리, 색채 등 ‘비전형상표’로 영역이 확장됐다. 2007년 7월 도입된 색채상표는 색채로 식별되는 상품 표지다. 기호, 문자, 도형에 색채가 결합한 상표와 색채 단독으로 이뤄진 상표로 구분된다. 이번에 KGC인삼공사에서 취득한 상표권은 후자인 색채 단독 상표다. 색채상표권을 등록하려면 상품의 ‘식별력’이 인정돼야 한다. 소비자가 색채를 보고 다른 브랜드가 아닌 해당 브랜드를 인식할 정도여야 한다. KGC인삼공사는 “제품 판매, 매출액, 인지도 향상에 매진하며 식별력 인정을 받기 위해 3년 동안 노력했다”며 “색채 단독 색채상표권을 받은 건 국내 기업 중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전에는 다국적 젤리브랜드 하리보가 금색으로 색채 단독 색채상표권을 받은 바 있다. 이상원 KGC인삼공사 전략실장은 “지난 2020년에는 중국에서 저명상표(驰名商标) 인정을 받았다”며 “이번에는 국내에서 색채상표권을 확보하면서 국내외에서 정관장 브랜드의 가치를 더욱 공고히 했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고려인삼의 세계화와 정관장 브랜드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지은 더나은미래 기자 bloomy@chosun.com

/전혜숙 의원실 제공
국내 바이오 정책이 나아갈 길은?… ‘국회 지구촌보건복지포럼’ 개최

‘제39차 국회 지구촌보건복지포럼’이 오는 27일 국회의사당 본청에서 열린다. 이번 포럼은 사단법인 지구촌보건복지가 주관하고, 전 세계 기아와 질병에 대해 연구하는 국회의원 모임 ‘국회 지구촌보건복지포럼’이 주최한다. 국회 지구촌보건복지포럼은 기아와 질병에 대해 연구하는 국회의원 모임이다. 모임 대표를 맡은 전혜숙 의원은 “김진표 국회의장이 바이오산업의 발전과 정책 과제를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강연은 국내외 바이오산업의 현황과 앞으로 달성 해야 할 바이오 헬스 정책으로 나눠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바이오헬스 분야의 인허가 제도 ▲줄기세포 연구 활성화 ▲AI의료 로봇 개발 ▲동물 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인공장기(오가노이드) 등 정책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백지원 더나은미래 기자 100g1@chosun.com

KGC인삼공사 ‘정관장몰’ 환절기 맞이 포인트 이벤트

KGC인삼공사의 정관장 직영 온라인몰 ‘정관장몰’에서 9월 환절기를 맞아 블루멤버스와 함께 최대 4만 포인트 이벤트를 진행한다. 오는 30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블루멤버스 포인트를 하루에 4만 포인트까지 사용할 수 있고 한달에 2번 사용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2만 포인트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이벤트를 통해 혜택을 2배로 확대했다. 특히 블루멤버스 포인트에 더해 정관장 포인트, 네이버 포인트 등 타사 제휴 포인트와 함께 중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블루멤버스 회원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고 정관장 제품은 물론 헬스푸드, JQ인증 안심먹거리 등 4000여 개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 ‘정관장몰’에서 블루멤버스 포인트를 사용해 정관장 제품을 구매하면 ‘1만원 쿠폰’도 제공한다. 쿠폰은 10월 1주차에 발행되며 정관장 제품 10만원 이상 구매할 때 사용 가능하다.

알약 하나로 2ℓ생수를 소독제로… “방역소독 폐기물 최소화”

코로나19 장기화로 방역소독이 일상화됐다. 최근에는 방역 폐기물을 최소화하면서 물품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도 줄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스타트업 ‘어스포어스’는 국내 최초로 산소계 발포 소독제를 개발했다. 알약 형태의 소독제 ‘라이프큐’ 한 알을 물에 넣으면 2ℓ 분량의 액체 소독제를 만들 수 있다. 어스포어스는 살균 소독제의 원료로 쓰이는 이산화염소를 알약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과 유통기한을 2년까지 보장하는 개별 포장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기존 살균제의 유통기한은 6개월에 불과하다. 지난 5월에는 환경부로부터 국내 유일의 알약 살균제로 허가받았다. 소비자가 소독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방역소독에 별도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다. 부피가 작아 배송도 용이하다. 어스포어스에 따르면, 1t 탑차에 실을 수 있는 발포 소독제는 8400개로 이는 액체 살균제 33만6000ℓ에 이른다. 같은 양의 액체 살균제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차량 98대가 필요하다. 이진오 어스포어스 대표는 “정기적인 방역이 필요한 유치원, 어린이집만 해도 소독제로 인해 연간 200만 통 이상의 폐플라스틱이 발생한다”면서 ”일반적인 살균제에 비해 폐플라스틱 발생을 95% 줄일 수 있고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택배 박스와 배송 규모에 따라 발생하는 탄소배출량도 현저히 적다”고 말했다. 문일요 더나은미래 기자 ilyo@chosun.com

KGC인삼공사, 자립준비청년 지원 캠페인으로 3700만원 모금

KGC인삼공사가 보호종료예정인 자립준비청년을 지원하는 ‘정관장 굿베이스와 함께하는 꿈베이스’ 캠페인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만 18세가 되면 보호시설을 떠나 자립해야 하는 보호 종료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일회성 기부가 아닌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실질적 도움을 주고자 기획됐다. 꿈베이스 캠페인에는 네티즌 4만8737명이 참가, 정관장펀드로 조성한 3500만원과 네이버 해피빈 모금액 232만원을 포함해 총 3732만원의 모금액을 달성했다. 마련된 기금은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자립준비청년의 제과제빵, 조리기능, 애견미용 등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자격증 취득 지원에 사용된다. 이번 캠페인은 지난 3월 23일부터 한 달간 정관장 온라인 공식몰인 ‘정몰’에서 굿베이스 제품 구입 시, 제품 1개당 KGC인삼공사에서 3000원씩 기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특히 직원들이 모은 같은 금액을 회사가 1대1로 매칭시키는 ‘정관장펀드’에 네이버 해피빈과 연계한 네티즌들의 참여로 모인 금액을 더해 재원으로 사용했다. KGC인삼공사 관계자는 “회사는 물론 임직원과 소비자가 함께 참여했다는 데 더욱 의미가 깊다”면서 “보호시설을 당장 떠나야 하는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립하는데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다양한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문일요 더나은미래 기자 ilyo@chosun.com

착한기업·착한가게가 착한카드 캠페인 함께합니다

스코노코리아(www.skonokorea.com) 썬앳푸드(www.sunatfood.com) ㈜유베스타(www.ChildU.co.kr) ㈜예감(www.yegam.com) 세종문화회관 서울시뮤지컬단(www.sejongpac.or.kr) 휴넷(www.hunet.co.kr) ㈜유비온(www.ubion.co.kr) 소망화장품(www.somangcos.co.kr) ㈜엔학고레메디칼(www.nhak.co.kr) 강릉촌두부(02-438-3918) 마마시타(02-511-7088) 블룸블룸(031-386-9902) 올리브 안경원(02-553-5102) 핑거 플라워(070-4407-3651) 쥴리앙(02-723-2386) 장어명가(02-471-4088) 도누이야기(02-433-3801) 더퍼스트펭귄(02-929-1120) 권앤한 스킨러브(02-755-8927) 대관령(02-437-9192) 동강오리(02-492-6717) 갯마을(02-432-6848) 항아리 수제비(02-492-6673) 보양식당(02-439-8504) 백미 부대찌개(02-492-1832) 그린찌개(02-494-1025) 동강 장어랑 나랑(02-2209-2260) 바다횟집(02-432-1850) 우스돈스(02-495-1482) 양미식당(02-492-7856) 소문난 순대국(02-434-4508) 고래뱃속(02-432-3390) 우리 오리날다(02-2209-6077) 남원 추어탕(02-432-4332) 정 고기집(02-434-3770) 망우 돌곱창(02-434-8444) 삼성 우림판매점(02-433-9116) 망우종합장식(02-433-6179) 우드토픽(02-433-7342) 스타노래연습장(02-2207-2380) 일호정(02-2207-4443) 옛아추 숯불구이(02-433-0324) 한성 정육식당(02-2207-2600) 묵은지삼합(02-432-6654) 미소(02-438-1885) 행복한나눔 청담점(02-2085-8238) 행복한나눔 서울극장점(02-2268-9544) 행복한나눔 정릉점(02-909-6449) 벗테드(02-6052-0933) 채선당-문정점(02-403-3306) 리치리치(02-433-2792) 춘천골닭갈비(02-438-3249) 쪼끼쪼끼(02-492-5666) 광돈(02-438-3395) 원조산꽃게탕(02-438-8880) 동해수산(02-2208-2276) 옛골보신탕(02-496-2800) 상록수노래방(02-493-7451) 은하커피숍(02-493-7451) 꽃보다소(02-2209-9494) 인뽕포차(02-439-9743) 까불지롱호프(02-494-9732) 발리호프(02-436-0605) 뮤직타운(02-432-8092) 원주추어탕(02-494-7745) 코코미용실(02-436-3387) 세신철물(02-435-2279) 아씨보쌈(02-436-9473) 산오징어집(02-491-2274) 털보고된이(02-493-9289) 소문난닭한마리(02-2209-1515) 장수건강원(02-495-5058) 맹돌이생선구이쌈밥(02-491-8221) 그린카모터스(02-495-7707) 황소네(02-494-0307) 다락방의추억(02-493-7731) 불쭈꾸미(02-493-4223) 호야바베큐(02-492-8881) 와바와바호프(02-493-0887) 밀향기멸치국수(02-491-7273)

[Cover story] 교육·공연 등 기부문화 확산… ‘착한기업’이 늘고 있다

착한카드 캠페인 참여하는 착한기업 늘어나 유베스타, 10% 할인·2개월 추가 이용 스코노코리아, 1300여명에 무료 증정 썬앳푸드, 메뉴 중 1개 무료 제공 ‘점프’ 4월 한달 50% 할인 혜택 착한카드로 받을 수 있는 혜택들이 늘어나고 있다. 착한카드 캠페인이 시작된 지 넉 달이 되어가면서 착한카드 소지자에게 할인이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착한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어서다. 교육·패션·외식·공연문화 등 여러 분야에 걸친 착한기업의 역할은 착한카드 사용자가 더 많아져서 우리 사회에 기부문화가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최근 새롭게 착한기업으로 참여하게 된 ㈜유베스타는 미국 2만여개 국공립 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학습 프로그램인 차일드유(ChildU)와 컴퍼스러닝(CompassLearning)을 국내에 도입해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유베스타는 착한카드로 온라인 가입을 하는 6개월 회원에게 5% 할인과 1개월 추가 이용권을, 12개월 회원 회원에게 10% 할인과 2개월 추가 이용권을 각각 제공한다. 유베스타의 고영길 대표는 “올해 ‘㈜유베스타’로 새 출발을 하면서 교육 회사로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일을 찾다 착한카드 캠페인이 훌륭한 첫 단추가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고 대표는 앞으로 전국 약 240개의 가맹학원에도 적극적으로 착한카드 캠페인을 홍보하는 것은 물론, 직원들에게도 캠페인에 동참할 것을 독려하겠다며 강한 의지를 보였다. 패션 브랜드 스코노코리아는 현재까지 착한카드 발급자 1300여명에게 무료로 신발을 증정했고, 착한가족 봉사단 50명과 결식아동 300명에게 신발을 선물했다. 스코노코리아의 이병국 온라인팀 과장은 “올해는 착한카드 캠페인과 함께하는 비영리단체들을 통해 약 4만 켤레의 신발을 해외에 기부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외식 전문기업 썬앳푸드는 매달 자사 브랜드 중 하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