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빵집을 다녀오는 길이었습니다. 여든 살쯤으로 보이는 어르신이 길바닥 한가운데 무릎을 꿇고 계셨습니다. 한 손에 지팡이를 짚고 힘겹게 일어서려는 듯했습니다. 어르신 뒤로 택배차가 오고 있어서 얼른 다가가 부축해 드렸습니다. 다친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돌아서려는데 혼잣말처럼 인사를 건네시더군요. “미안해요. 내가 빨리 죽어야 하는데… 자식들한테 짐만 되고…” 저희 어머니도 자주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우리 사회는 어쩌다 오래 사는 게 미안한 일이 되었을까요. ◇ 생명 연장의 꿈 지난 12월 23일 대한민국은 초고령 사회가 되었습니다. 뭔가 무시무시한 사회가 된 것 같지만 65세 이상 인구가 20%를 넘었다는 통계에 불과합니다. 사회의 고령화를 구분하는 기준은 1956년 UN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한 국가의 고령자 비율이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에서 처음 ‘고령화 사회’가 언급되었습니다. 1956년의 기대수명은 50.6세였으니 65세만 넘어도 고령자에 속했죠. 그래서 65세를 넘은 ‘노인’이 인구의 7%만 넘어도 ‘고령화 사회’라고 규정했습니다. 고령 사회(14%)나 초고령 사회는 그 후에 생겼습니다. 인간의 수명이 점점 더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1956년에 태어난 사람은 올해 69세가 되었습니다. 당시의 기대수명보다 18년을 더 살고 있는 셈이지요. 그러니 초고령 사회는 누군가의 잘못이 아니라 의료기술이 생명연장의 꿈을 실현시킨 결과입니다. 다만 너무 빨리 성과를 이루었을 뿐입니다. ◇ 가장 빨리 늙는 국가 사회의 고령화가 여러 문제를 야기하는 것은 맞습니다. 우선, 일하는 사람보다 연금 받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아집니다. 세금 내는 사람보다 세금 혜택을 받는 사람이 늘어나니까 국가나 지자체는 심각한 재정 압박을 받습니다. 기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