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더 나은 디자인’을 말하다 [대담] 에치오 만치니 밀리노공대 명예교수-차강희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 사회문제 해결책으로 ‘디자인’이 떠오르고 있다. 환경을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이나 창의적인 전략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씽킹’이라는 용어는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지난 25일에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지속가능성 관련 국제 디자인상인 ‘서울디자인어워드’ 시상식이 열렸다. 올해로 5회를 맞은 서울디자인어워드는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상을 수여한다. 이번 대회에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자인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밀라노공과대학의 에치오 만치니(Ezio Manzini) 명예교수(79)가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지속가능한 디자인 분야에서 30년 이상 활동해 온 그는 사회혁신 디자인 국제 네트워크인 ‘DESIS(Design for Social Innovation and Sustainability)’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2016년에는 사회혁신을 위한 디자인 입문서인 그의 저서 ‘모두가 디자인하는 시대’ 한국어판도 출간됐다. 서울디자인어워드를 주관하는 서울디자인재단은 지난달 차강희 홍익대학교 교수(62)를 신임 대표이사로 임명했다.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교수인 차 대표는 과거 LG전자 디자인연구소장으로 ‘초콜릿폰’, ‘프라다폰’ 개발을 주도하며 ‘슈퍼디자이너1호’로 선정된 인물이다. 차강희 교수는 “그간의 경험을 토대로 공공 디자인 관점에서 새로운 변화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나은미래는 지난 25일, 엣지오 만지니와 최강희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를 만나 ‘지속가능성과 디자인’에 관해 물었다. ―글로벌과 한국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어느 단계에 와있다고 보나. 에치오 만치니=상황이 매우 복잡하고 분열되어 있어 딱 잘라 답변하기 어렵다. 지속가능한 디자인이나 사회변화를 위한 디자인 자체만 놓고 보면 30년 전과 비교해 훌륭한 사례가 많아진 것은 사실이다. 이번 서울디자인어워드에서 발표된 프로젝트만 봐도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