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금)

“지구를 위한 ‘메타인지’ 사용법” [2023 미래지식 포럼]

2023 현대차정몽구재단 미래지식 포럼 <2>
기후위기 해결, ‘생각을 말할 용기’에서 시작

인류가 자초한 기후위기. 지구 생태계 파괴와 인류 멸종이라는 거대한 위기 앞에서 우리는 무엇을 생각하고, 행동해야 할까. 28일 현대차정몽구재단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공동 주최하는 ‘2023 현대차정몽구재단 미래지식 포럼’이 서울 서초구 세빛섬에서 개최됐다. 올해는 ‘호모사피엔스, 기후위기를 말하다’라는 대주제로 물리학, 심리학, 국문학, 환경공학, 건축학, 지리학 등 여섯 분야 학자들의 강연이 진행됐다.

“한국에서 ‘메타인지(Meta-Cognition)’는 아이들 학습을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생각에 대한 생각’ ‘생각을 하려는 생각’ 등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메타인지를 완벽히 이해했다고 할 수 없습니다. 문제에 따라 해결 방법이 제각각이고, 생각하기 위한 사고방식도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메타인지는 결국 복잡한 여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28일 ‘2023 현대차정몽구재단 미래지식 포럼’ 1부 두 번째 연사로 나선 리사 손 컬럼비아대 버나드컬리지 심리학과 교수는 “한국에서 메타인지는 공부를 잘 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알려지면서, 학습에 대한 부분만 강조됐다”며 “이제는 기후위기를 포함한 해결이 어려워 보이는 문제들에 대해 메타인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리사 손 컬럼비아대 버나드컬리지 심리학과 교수는 28일 열린 '2023 현대차정몽구재단 미래지식 포럼'에서 "기후위기처럼 복잡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메타인지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건송 C영상미디어 기자
리사 손 컬럼비아대 버나드컬리지 심리학과 교수는 28일 열린 ‘2023 현대차정몽구재단 미래지식 포럼’에서 “기후위기처럼 복잡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메타인지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건송 C영상미디어 기자

리사 손 교수는 가장 먼저 인간의 성장에 대해 이야기를 하며, 인간이 자신의 생각을 숨기게 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했다. 리사 손 교수는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되지만, 점차 어른이 되면서 사회로부터 고차원의 질문들을 받기도 하고, 어른스럽게 생각하는 것을 강요받는다”며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점차 좋은 어른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에 ‘가면을 쓴 사람(Impostor)’이 되기 시작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개인의 생각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성차별, 인종차별, 여성에 대한 억압, 금융 불안정성, 자연 훼손, 교육받을 권리의 박탈 등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에 대한 의견을 물어보면 정말 다양한 의견들이 공존하고 있고, 대부분 논쟁을 통해 해결에 가까워지고 있다”며 “이처럼 사회 문제가 해결되고, 임팩트가 만들어지려면 생각하는 것과 고려하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말했다.

‘메타인지’에 대한 개념 소개가 이어졌다. 메타인지는 발달심리학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로, 인간의 인지 활동을 위해 한 차원 높은 시각에서 자신을 관찰하는 정신 작용을 뜻한다. 그는 “메타인지는 ‘생각하는 것(monitoring)’과 ‘변할 수 있다고 고려하는 것(control)’ 등 두 가지 차원이 모두 이뤄져야 한다”며 “저 또한 20년 넘게 메타인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 메타인지의 전부를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메타인지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청중들에게 여러 질문을 던졌다. ‘아침먹는 것, 결혼하는 것, 교육받는 것 등이 얼마나 중요한가?’ 등에 대한 질문을 청중들은 0(완전히 동의하지 않는다)부터 7(완전히 동의한다)까지 정도를 답했다. 또 메타인지에 대한 연구 논문을 소개했다. “실험참가자들의 응답 패턴을 분석했더니 동양인은 양 극단인 0과 7을 제외한 중간의 답을 내놓는 경향이 있었지만, 미국인의 경우는 양극단의 답변을 내놓는 경우가 대다수였다”며 “동양인의 경우는 나의 생각을 표현하는 것을 숨기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리사 손 교수는 "좋은 사람이라는 가면(Impostor)을 써야하는 우리는 내 생각을 말하는 것이 어렵고, 대화를 통해 변할 수 있는 기회를 외면하고 있다"며 "가면을 벗어야 문제 해결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이건송 C영상미디어 기자
리사 손 교수는 “좋은 사람이라는 가면(Impostor)을 써야하는 우리는 내 생각을 말하는 것이 어렵고, 대화를 통해 변할 수 있는 기회를 외면하고 있다”며 “가면을 벗어야 문제 해결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이건송 C영상미디어 기자

동의하는 것과 사실에 대한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논문도 소개했다. 미국인과 동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유한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버릇 없다’, ‘슈퍼모델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이다’ 등 여러 질문들에 대해 1차 실험엔 동의 여부에 대한 응답을, 2차 실험엔 사실 여부에 대한 응답을 진행한 심리 실험이었다. 그는 “해당 심리 실험 결과에 따르면, 인종과 상관 없이 많은 사람들이 동의할수록 사실에 가깝다는 연관성이 있었다”고 말했다.

기후위기와 같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메타인지에서 가장 중요한 점으로는 ‘대화를 이어가는 것’을 꼽았다. 그는 “사실이라고 이미 단정지어 버리면 사람은 타인의 의견을 듣지 않고, 생각을 바꾸지 않게 된다”며 “결국 인간이 서로 대화를 통해 어떤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지, 타인과 내가 어떤 지점에서 다른지 등을 알아가면서 해결책에 가까워 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좋은 사람이라는 가면(Impostor)을 써야하는 우리는 ‘내 생각을 말하는 것(모니터링 하는 것)’이 어렵고, 대화를 하면서 변할 수 있는 기회(컨트롤할 수 있는 기회)를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메타인지는 결국 ‘자신의 용기를 되찾는 힘’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도 용기내서 말해보자면 지구에 살면서 뇌를 연구하는 사람이면서, 지구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았습니다. 여러 복잡한 이슈들에 대해서 타인과 대화도하고, 질문도하고, 머릿 속에서 떠오르는 여러 호기심들을 따라가려면 결국은 ‘용기내서 말하기’부터 시작해야하는거죠. 기후 위기와 같은 어려운 문제들을 외면하지 말고, 타인과 다름을 당당히 말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용기를 가지시길 바랍니다.”

황원규 기자 wonq@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