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세담 인터뷰] 사이버 언어폭력 예방 프로그램 ‘바른말풍선’ 운영하는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미디어보호팀 ‘나는 앞으로도 사이버 폭력을 절대 하지 않겠다!’ ‘사이버 폭력을 당하는 친구를 보면 도와주겠다.’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스스로넷) 사무실 문 앞에는 한 글자씩 또박또박 써내려간 다짐들이 빼곡히 붙어 있다. 사이버 언어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인 ‘바른말풍선’을 들은 초등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글이다. 바른말풍선은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가 현대해상의 후원을 받아 푸른나무청예단과 3년째 진행 중인 프로그램이다. 초등학생들의 사이버 언어폭력을 예방하고, 올바른 미디어사용 및 언어습관을 기르는 게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이런 말도 폭력이라고요?” 교실로 침투한 사이버 언어폭력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는 청소년미디어교육, 청소년미디어문화, 청소년 미디어역기능대응 등을 진행하는 청소년 미디어 특성화 시설이다. 지난달 6일, 용산에 있는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에서 바른말풍선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미디어보호팀 남기숙 팀장과 김은혜·장혜민 상담사를 만났다. 이들은 초등학생들이 인터넷 방송에서 접한 선정적인 유행어를 교실에서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고학년의 경우 단체채팅방을 통해 괴롭힘과 따돌림이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남기숙 팀장은 “학교 측에서 ‘바른말풍선’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경우도 많다”면서 “상반기에만 100개가 넘는 학급에서 교육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심각한 건 초등학생들이 ‘사이버 언어폭력’을 스스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아이들은 사이버 언어폭력이 무엇인지, 자신이 쓰는 단어가 무슨 뜻인지, 자신이 행동이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인지 조차 자각하지 못하고 있었다. 남기숙 팀장은 “교육 대상을 초등학교 3~6학년으로 정한 이유도 이 때문”이라며 “인지발달이 이뤄지는 연령층이라 예방교육의 효과가 높다”고 설명했다. ◇무조건 ‘금지’하기보단 ‘공감’이 먼저 교육 내용은 ‘인지’ ‘정서’ ‘행동’이란 세 가지 영역에 초점이 맞춰진다. 폭력이 무엇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