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열풍이다. 현재 국내에 설립된 (인증)사회적기업은 1713개, 협동조합은 1만1238개를 넘어섰다. 전국에서 운영되는 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40여곳에 달한다. 대학가는 어떨까. 더나은미래가 국내 대학의 사회적경제 관련 전공 학과가 부족한 실태를 지적했던 것이 3년 전(‘사회적기업 1000개 시대…大學도 사회적경제에 눈 뜨나’). 그 후 사회적경제 전문가 양성을 위한 석·박사 과정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사회혁신과 가치를 결합한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문 교육에 대한 니즈도 높아지고 있는 것. 더나은미래가 2017년 사회적경제 정규 학위 과정을 정리해봤다. ◇사회적경제도 이젠 융합이다…경영·디자인·인문 등 단과대 교수 총집합 경영자에게 인문, 사회, 경영, 디자인, 소비자 등 다양한 지식과 경험은 필수. 이에 대학에서도 사회적경제 융합형 인재를 키우려는 시도가 전공 개설이 증가하고 있다. 부산대는 2010년 국립대 최초로 사회적경제 관련 정규 학위 과정인 사회적기업학 전공을 개설했다. 경영대학, 사범대학, 공과대학, 자연대학, 예술대학, 간호대학, 인문대학 등 총 7개 단과대 소속 교수진이 참여하는 협동과정으로 운영된다. 사회적기업 창업, 관리, 연구, 컨설팅 역량을 갖춘 사회적기업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사회적기업경영론, 사회적기업 사례연구, 사회적기업 정책론, 사회적기업가 역량개발, 기업 윤리와 사회적책임, 사회적기업 경영실무 등 다양한 수업이 진행된다. SK와 BS금융그룹 등이 기금을 조성해 재학생에게 2년간 등록금 전액을 지원한다. 현재 석사학위 과정만 운영되고 있으나, 박사과정도 곧 개설될 예정이라고 한다. 2017년 후기 신입생 모집은 5월 16일부터 18일까지다. (자세한 사항은 모집요강 참조) 이화여대도 올해 9월 일반대학원 사회적경제 전공을 신설한다. 사회복지학, 경영학, 사회학, 경제학, 산업디자인, 소비자학, 건축학, 기후 에너지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