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위험 임산부 고충 “대학병원으로 옮기자마자 검사를 전부 다시 받으라는 바람에 첫 검사비만 50만원이 넘게 나왔어요.” 임신 9개월째에 접어든 남인희(35)씨는 고위험 산모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전치태반'(태반이 자궁의 입구에 근접해 있거나 덮고 있는 증상) 진단을 받고 병원을 옮겨야 했다. 출혈이 동반되는 증상인 만큼 혈액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대학병원에 있어야 했던 것. 남인희씨는 “대학병원에서는 무슨 검사를 하건 비용이 두 배가 넘는다”며 “이전 병원에선 일반 초음파 검사가 3만원도 안 됐는데, 대학병원은 6만원을 받는다”고 덧붙였다. 3년 전 둘째를 출산할 때 같은 진단을 받았던 이효정(37)씨는 “저도 큰 병원으로 가라는 소견서를 받고 옮겼는데, 2차·3차 검사를 받으면서 ‘돈으로 애를 낳는구나’라는 생각을 했던 적이 있어요”라며 맞장구를 친다. 이효정씨가 “거기다가 특진비도 추가되잖아요”라고 하자, 남인희씨는 “맞아요. 특진비”라고 대꾸하며 “사실 의사들이 보는 건 똑같은데, 우리 나이가 많아서 불안하니까 경험 많은 선생님을 선택할 수밖에 없어요”라고 말을 잇는다. 다음 달 출산 예정인 남인희씨와 3년 전 출산을 경험했던 이효정씨가 한자리에 모이자, 고위험 산모가 겪어야 하는 고충들이 쏟아진다. 고위험 산모는 임신·출산 중 산모나 태아, 신생아의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한 임신을 한 임산부이다. 체질에 따라 겪어야 했던 증상은 조금씩 달랐지만, 정상 산모보다 병원을 더 드나들어야 했고, 그로 인해 진료비 부담이 막중해졌다는 것에 이들은 한 목소리를 낸다. 건강 체질인 이효정씨는 32살에 첫 아이를 낳을 때만 해도 임신부터 출산까지 무난한 과정을 겪었지만, 3년 후 둘째 아이 출산 과정에서는 임신성 빈혈, 갑상선기능항진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