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조금씩 더워지는 이맘때가 되면 기다려지는 소식이 있다. 바로 기업과 기관들이 매년 내놓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다. 일부에서는 CSR 보고서 또는 기업시민보고서라는 이름으로도 발간하며, 올해는 ESG 보고서라는 이름으로 공시한 기업도 적지 않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각 기업이 지난 1년간 어떤 일을 어떻게 진행했고, 그로 인한 성과와 미흡한 것은 무엇이며, 앞으로 어떤 전략으로 비즈니스를 할 계획인지를 담고 있다. 과거에는 기업의 재무적인 정보는 재무제표로 확인하고 비재무 정보는 지속가능보고서로 확인했지만, 얼마 전부터는 재무·비재무 정보를 통합한 보고서를 만드는 기업도 생기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보고서는 2001년 2개를 시작으로 작년 기준 135개로 늘었다. 최근 10년간 보고서 발간율을 따지면 약 64% 증가했다. 기업은 언제부터, 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만들게 되었을까? 1989년 3월 미국에 본사를 둔 정유회사 엑슨(Exxon)의 유조선인 엑슨 발데즈호가 미국 알래스카 해안에서 암초와 부딪혀 좌초하면서 24만 배럴의 원유가 바다로 유출된 사고가 있었다. 이로 인해 근처 바다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쳤고 수산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던 알래스카 원주민의 경제에도 심각한 타격을 줬다. 이 사건을 계기로 유엔 환경계획(UNEP)의 지원을 받아 환경단체인 세레스와 텔루스 연구소는 1997년 GRI라는 조직을 설립하고 기업의 경제, 사회, 환경과 관련된 공시기준 초안을 만들었다. 이후 지속가능성 보고지침 및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GRI가 만든 가이드라인은 회사 및 공급망의 활동으로 인한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와 관련된 비용과 이익을 표준화하고 정량화해 제3자가 객관적으로 기업을 평가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GRI가 만들어진 후 기업들은 지속가능경영 현황을 이해관계자와 소통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에 맞춰 공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