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 육심나 카카오임팩트 사무총장 “기술이 접목되면 사회문제 해결 속도가 4배 빨라집니다.” 육심나 카카오임팩트 사무총장(카카오 ESG 부사장)은 지난 21일 카카오 판교 아지트에서 진행된 더나은미래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기술이 단순한 도구를 넘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강력한 촉매제가 될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철학이 카카오임팩트 ‘테크포임팩트(Tech for Impact)’ 탄생의 배경이다. 2023년 시범사업으로 출발한 이 프로젝트는 개발자와 사회혁신가가 힘을 모아 사회문제를 해결할 기술을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운영 방식은 두 가지. 대학 교과과정과 연계한 ‘캠퍼스 프로그램’과, 현업 개발자 중심의 ‘랩(Lab)’이다. 캠퍼스 프로그램은 대학과 재단이 공동으로 커리큘럼을 짜고, 현직 기획자, 개발자와 사회혁신가들이 수업에 참여한다. 수업 후 학생들이 실제 서비스를 구현하고 싶을 경우 후속 개발도 지원한다. 랩은 사회혁신가가 문제를 정의하면, ‘모두의 연구소’를 통해 개발자를 모집한다. 평균 12명이 팀을 꾸려 5개월간 매주 평균 약 10시간씩 모여 실제 서비스를 개발해 현장에 도입한다. ◇ 재난 대피 훈련 앱·돌고래 보호 앱 등 24개 기술 개발 카카오임팩트가 ‘테크포임팩트’를 시작한 이유는 뭘까. 육심나 사무총장은 “그동안 사회혁신가들을 지원하는 펠로우십 사업을 운영해 왔다”며 “그러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아무리 뛰어난 사회혁신가라도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임팩트를 확산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었죠.” 펠로우십을 통해 수많은 혁신가들을 만났지만, 현장에서는 늘 기술 인력의 부족이 문제였다. 육 사무총장은 “임팩트 생태계에는 기술자가 턱없이 부족하다”며 “그래서 ‘기술을 사회문제 해결에 연결하는 구조’를 만들자는 생각으로 테크포임팩트를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지금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