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전국에서 생산한 신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가상발전소(VPP)’ 공동 개발에 나선다. SKT는 “SK에너지, 식스티헤르츠, 한국전기연구원, 소프트베리와 가상발전소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가상발전소는 개인이나 사업자가 각 지역에서 만든 신재생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가상 시스템이다. 미래 에너지 관리 기술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SKT는 전국에 흩어져 있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과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맞게 전력을 생산·저장·거래하는 최적화된 가상발전소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SKT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가상발전소 기술의 핵심 영역인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과 전기차(EV) 충전 수요 예측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최적 제어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기반 전력 거래 등을 위한 공동 개발에 착수한다. 가상발전소 운영에는 인공지능(AI) 기술 활용이 필수다. 생산이 일정하지 않은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을 예측하거나, 전기차 충전 등을 위한 고객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때 AI가 정확도를 높여 주기 때문이다. 또 생산된 전력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으로 관리하는 데 AI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충전과 방전 최적화도 가능하다. SKT는 SKT 그룹 차원에서 넷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개발 중인 ‘그린 AI’ 기술을 가상발전소 개발에 적용할 예정이다. SK에너지는 기존 주유소를 친환경 에너지를 직접 생산해 판매하는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으로 전환해가는 상황에서, 주유소 공간과 기술과 함께 활용하면서 협력하기로 했다. 에너지 분야 스타트업인 식스티헤르츠는 풍속·온도·일조량 등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전국의 신재생 에너지 공급량을 예측하는 가상발전소를 운영 중이다. SKT의 AI 기술을 접목해 태양광에너지 발전량을 더욱 정확히 예측하고, ‘태양광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