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 1924개 기업 조사…82% “탈탄소화로 이익”기후대응 성과 갈라놓은 건 디지털 역량 세계적으로 ESG 경영이 후퇴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기업들이 기후 대응을 통해 뚜렷한 재무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CO2 AI가 16일 발표한 ‘2025 기후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16개 산업 1924개 기업 중 82%가 탈탄소화 활동으로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70%는 향후 기후 관련 투자를 유지하거나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후 관련 외부 보고나 감축 목표 설정은 눈에 띄게 줄었다. 스코프(온실가스 배출 범위) 1·2·3 전 범위를 공개한 기업 비중은 2023년 10%에서 올해 7%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전 범위를 대상으로 감축 목표를 세운 기업도 19%에서 13%로 줄었다. 쉘, 코카콜라 등 글로벌 대기업은 기존 공약을 완화하거나 철회했다. ◇ 61% 기업 “기후대응에 투자 늘리겠다” 그럼에도 실제 투자 흐름은 기후 대응으로 움직이고 있다. 16개 산업의 경영진 192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기업들은 향후 5년간 기후 완화(mitigation)와 적응(adaptation) 분야에 자본지출 비용을 평균 16% 더 늘리겠다고 답했다. 기업당 평균 6900만 달러(한화 약 965억원)에 해당하는 규모다. 응답자들의 태도 역시 적극적이었다. 전체 기업 가운데 61%는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밝혔으며 특히 에너지·건설·기술·헬스케어·산업재 부문에서 증가폭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바이오 제약사 다케다 제약은 운영과 가치사슬 전반에서 탈탄소화를 추진하며 성과를 내고 있다. 사무실과 공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협력해 폐기물 감축에도 나섰다. 요한나 C. 조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