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활동을 통해 수학·과학·영어 등의 교과목을 수업하는 ‘예술융합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학생들은 선생님의 설명을 듣는 대신 직접 몸을 움직이며 ‘빠름’과 ‘느림’의 개념을 이해하고, 팔다리를 벌려 ‘예각’과 ‘둔각’의 차이를 배운다. 영국 교육회사 ‘아티스 에듀케이션(Artis Education·이하 아티스)’은 2004년 설립 이후 지금까지 현지 초등학교 700여곳 50만명의 학생에게 이 같은 예술융합교육을 제공했다. 아티스의 창립자인 레베카 보일(Rebecca Boyle)은 지난해 아티스를 유한회사에서 비영리재단으로 변경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지역에 있는 초등학교에 아티스 프로그램을 더 적극적으로 보급하기 위해서다. 회사 대표였던 그는 현재 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워크숍 참석차 한국을 찾은 레베카 보일 아티스재단 이사장을 지난 20일 서울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영국 700여개 초등학교 정규 수업에 아티스의 예술교육 도입 “뛰어난 예술가들을 보면 대부분 어릴 적부터 예술을 접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었어요. 그런 경험을 통해 본인의 자질과 꿈을 키워나갈 수 있었죠.” 보일 이사장은 미국 예일대에서 음악학 석사 학위를 받은 뒤, 예술 매니지먼트 회사인 IMG에서 7년간 무용가, 음악가, 공연 예술가들의 활동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일을 했다. 그는 “IMG에서 여러 예술가와 함께 일하며 어릴 적부터 예술을 접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걸 깨닫게 됐다”면서 “더 많은 아이에게 예술을 경험할 기회를 주고 싶어 아티스 에듀케이션을 설립했다”고 말했다. “아티스 프로그램은 아이들이 무용, 음악, 연극을 결합한 예술 활동에 참여하며 자연스럽게 교과목에 관한 지식을 익히도록 설계돼 있어요. 예를 들어 과학 교과에 나오는 ‘태양계’를 배운다고 하면, 아이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