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스틴베스트, ‘재무 중대성과 지속가능성 공시’ 세미나 개최 “국내 기업들이 명실상부한 밸류업(기업가치 제고)을 달성하려면 E와 S로 표상되는 지속가능성 이슈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4월 말 발표된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안을 계기로 한국 기업들이 탈탄소 및 ESG 대응을 거버넌스 관점, 전략적 관점, 재무적 관점에서 진지하게 고려하고 개선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 지난 8일, ESG 평가 및 데이터 분석기관 서스틴베스트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재무중대성과 지속가능성 공시’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기업 관계자와 학계 등 100여명이 참석한 이번 세미나에서는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과 이남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의 축사에 이어 백태영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이 기조연설을, 이웅희 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 부위원장과 오승재 서스틴베스트 부대표가 주제발표를 맡았다. 이어진 패널토의에는 이인형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왕겸 미래에셋자산운용 이사, 황정환 삼정KPMG파트너 회계사가 참여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백태영 교수는 “우리 기업들이 기존에는 GRI 중심의 임팩트 관점에 입각한 공시를 해왔다면, ISSB와 KSSB는 투자자를 위한 정보 공시를 요구한다”면서 “기업의 기존 ESG 공시가 PR에 가까웠다면 재무중요성 공시는 IR에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정부가 의무공시 기준으로 채택한 ISSB 기반 KSSB 공시기준(초안)은 공시정보의 주요 이용자가 투자자임을 이해해야 하며, 따라서 투자자들이 원하는 정보에 초점을 두고 공시를 해야 한다”고 투자자 중심의 공시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웅희 KSSB 부위원장과 오승재 서스틴베스트 부대표는 각각 주제발표를 맡아 KSSB 초안에 대한 인식 확산과 데이터 기반 재무중요성 분석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웅희 KSSB 부위원장은 “지난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