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ES·트리플라잇 공동연구 ‘2025 한국인이 바라본 사회문제'<上>
하위층일수록 관계 단절·참여 위축 심화…공동체 신뢰 흔들
한국 경제가 수치상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국민이 느끼는 체감 경기는 오히려 더 얼어붙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가치연구원(CSES)과 트리플라잇이 지난 4일 발표한 ‘2025 한국인이 바라본 사회문제’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의 체감 경제 평가는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신뢰 회복과 사회적 자본의 복원을 향후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한국인이 바라본 사회문제’ 조사는 2020년부터 매년 실시돼 온 국민 인식 조사로, 올해로 6년째다.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2025년 5월 실시, 95% 신뢰수준, 오차 ±3.1%p)을 기반으로, 객관적 통계가 아닌 국민 인식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적해왔다. 보고서는 이를 토대로 기업과 공공부문이 사회문제 해결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살펴본다.
◇ GDP는 반등했지만 국민 체감은 ‘최저’
한국 경제는 2025년 회복 국면에 들어섰지만, 국민이 느끼는 체감 경제는 오히려 더 악화됐다. 2024년 2분기 –0.2%였던 GDP 성장률은 2025년 같은 분기 0.7%로 반등했지만, 국민의 체감 경제 평점은 2020년 5.13점(10점 만점)에서 2025년 3.88점으로 떨어졌다.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경제와 사회, 삶 전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지면서 신뢰 회복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경제적 어려움과 불안정성이 완화되지 않으면서 국민의 행복지수 역시 하락했다. 개인 행복 수준은 2024년 6.54점에서 2025년 6.34점으로 낮아졌고, 사회문제가 삶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은 2020년 6.54점에서 2025년 6.9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제 불만과 사회문제 피로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국민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조사 결과, 경제적으로 어렵고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일수록 사회에 대한 불만이 크고, 특정 사회문제에 편향된 인식을 보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산층 비율은 59.3%였지만, 이번 조사에서 자신을 중산층으로 인식한 비율은 39.5%에 불과했다. 실제보다 낮게 자신을 평가하는 ‘심리적 위축’이 뚜렷했다.
◇ ‘의지할 사람 없다’ 두 배로 늘어…관계 단절·불신·참여 위축의 악순환
‘의지할 사람이 없다’는 응답은 2024년 4.1%에서 2025년 9.8%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국민 10명 중 1명꼴로 사회적 관계망이 단절돼 있다고 느낀 셈이다. 경제적 어려움과 외로움을 동시에 느끼는 집단은 사회 전반에 대한 불만이 크고, 경제 문제에는 민감하지만 환경 문제에는 상대적으로 무관심했다. 반면 중산층 이상은 ‘환경오염·기후변화’와 ‘자연재해’에 대한 우려가 컸다.

스스로를 사회·경제적 하위계층으로 인식한 응답자들은 사회문제가 삶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7.06점으로 평가했으며, 이는 중산층 이상(6.48점)보다 높았다. 주요 우려 요인은 ‘소득 및 주거 불안’, ‘고용 및 노동 불안정’이었다. 관계망이 약한 집단 역시 사회문제의 부정적 영향을 더 크게 느꼈다(7.16점 vs 6명 이상 6.79점). 여유 있는 집단은 환경을, 어려운 집단은 생계를 우려하는 인식 격차가 뚜렷해지면서 사회 갈등의 잠재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회 갈등이 ‘심각하다’고 인식한 평균 점수는 4점 만점에 3.3점에 달했으며, 이념 갈등을 심각하게 본 응답은 95.9%에 이르렀다. 동일한 현상을 다르게 인식하는 관점 차이는 갈등을 심화시키고, 사회문제 해결의 속도를 늦추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집단에서도 참여 의지는 눈에 띄게 줄었다. ‘세금·투자·기부·봉사를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응답은 2020년 62.7%에서 2025년 53.5%로 9.2%포인트 감소했다. 투표, 불매운동, 책임 있는 소비 등 실질적 행동 경험 역시 2020년 34.54%에서 2025년 22.96%로 줄었다.
보고서는 “경제적 지표보다 사회적 자본의 약화가 국민의 체감 경제를 더 냉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신뢰 회복과 공동체 유대 강화 없이는 경제 회복의 의미도 제한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