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풍력·태양광 발전량이 지난해 기준 전체의 10%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우리나라의 풍력·태양광 발전량은 4.7% 수준으로 재생에너지를 확충하는 세계적 흐름에 뒤처지고 있었다.
30일(현지 시각) 영국의 기후·에너지 분야 싱크탱크인 ‘엠버(Ember)’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제 전력 리뷰 2022’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엔 전 세계 209개국의 전력 통계를 분석한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발전량 중 풍력과 태양광 발전 비중이 10.3%를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10%대를 돌파했다. 이는 2020년 9.3%에서 1%p 증가한 수치다. 2015년 파리기후협약 체결 당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 비중은 전체 전력의 4.6%에 불과했지만, 5년 만에 약 2배 넘게 상승했다.
발전 규모도 급증했다. 2021년 전 세계 태양광 발전량은 188.47TWh로 2015년 58.33TWh와 비교해 3.2배가량 증가했다. 풍력도 2015년 112.28TWh에서 2021년 226.76TWh로 2배 넘게 늘었다. 데이브 존스 엠버 국제전력팀장은 “앞으로 10년 동안 기후변화에 대처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풍력과 태양광을 더욱 급진적인 수준으로 보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덴마크의 풍력·태양광 발전 비중이 51.85%로 가장 높았고, 우루과이가 46.68%로 뒤를 이었다. 이미 전체 발전량의 4분의 1 이상을 풍력·태양광 에너지로 충당하는 국가는 리투아니아(36.87%) 스페인(32.89%), 독일(28.81%) 등 10곳이었다. 지난해 풍력·태양광 발전 비중 10% 대에 새로 진입한 국가는 중국(11.2%), 일본(10.2%), 몽골(10.6%), 베트남(10.7%), 아르헨티나(10.4%), 헝가리(11.1%), 엘살바도르(12.0%) 등 7곳이다. 특히 베트남은 태양광 발전량이 지난해에만 337%(17TWh) 늘었다.
반면 한국의 풍력·태양광 발전 비중은 각각 0.55%, 4.12%로 합계 4.67%에 그쳤다. 한국의 1인당 전력 수요는 10.5MWh로 주요 20국(G20) 중 캐나다(15.4MWh)와 미국(12.4MWh)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크게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저스틴 홈스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차기 정부가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로 잡은 최대 25%까지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풍력·태양광 발전 관련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에 더욱 힘써야 한다”고 했다.
강명윤 더나은미래 기자 mymy@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