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 가나 정부의 카카오위원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가나의 카카오 산업이 약 10억달러 손실을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커피나 코코아 등 기호식품 관련 산업은 업종에 따라 매출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수요가 늘어도 개발도상국 상황은 여의치가 않다. 전염병 통제가 어려운 개발도상국들은 국가 봉쇄와 이동 금지 등의 조치가 내려지면서 수출에 필요한 행정 처리나 물류가 지연됐고, 그 손실은 고스란히 생산자들에게 돌아갔다. 가나와 인접한 코트디부아르 상황도 비슷하다.
서아프리카의 가나와 코트디부아르는 전 세계 카카오 생산량의 70%를 담당하는 곳이다. 이곳의 공급이 원활치 않음은 곧바로 시장 가격의 요동을 의미하고 이것은 산업의 지각 변동을 뜻한다. 어쨌거나 팬데믹은 개발도상국에 산업 손실을, 선진국의 다국적 제과 회사엔 쏠쏠한 이익을 남겼다. 가나와 코트디부아르도 손 놓고 당하지만은 않았다. 두 나라는 지난해 10월부터 카카오 거래 시 톤당 400달러의 고정 프리미엄을 붙이기 시작했다. 이런 가격 정책 변화는 전년부터 계속 예고한 사안이기도 했다. 마하무두 바우미아 가나 부통령은 “OPEC처럼 코코아 생산국을 모아 ‘코펙(Copec)’을 결성해 코코아 농장의 가난 문제를 완화하겠다”고 말하며 야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사실 서아프리카 카카오 산업은 ‘어린이 강제 노동’이라는 오명을 수십 년간 뒤집어써야 했다. 끝없이 떨어지는 카카오 가격 때문에 어른들은 더 이상 카카오 농장에서 일하려 하지 않는다. 도시의 슬럼가로 나가면 하루에 1달러는 벌 수 있고, 부자 나라로 이주노동을 떠나면 집 한 채 살 돈은 마련해 돌아올 수 있다. 하지만 시골 농장에서 일하는 카카오 농부들은 가족이 먹고살 돈을 혼자서 벌어내기가 어렵다. 부모들은 아이를 수확 현장에 데리고 다니며 일을 거들게 하거나, 더 가난한 다른 나라 농장으로 일을 보낸다. 그러지 않으면 나머지 가족마저 건사할 수 없으니까. 마치 우리나라 60년대와 비슷한 형편이다.
다행스럽게도 많은 카카오 가공 회사와 제과 회사들이 “카카오 농민들의 생활 수준 향상에 동참하겠다”며 두 나라의 가격 정책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어린이 강제 노동과 이에 따른 지속 가능성에 의구심을 던지는 한 카카오 가공업계도 모르쇠로 일관할 수는 없는 법이다. 생산자에게 제값을 주자는 공정무역 진영의 오랜 캠페인, 양심의 가책 없는 달콤함을 즐기겠다는 소비자의 오랜 요구에 시장이 아주 작은 반응을 한 것으로 평가하고 싶다.
다만 이 사안에 대한 ‘허쉬’의 행보는 매우 실망스럽다. 얼마 전 공정무역 인증도 취소하면서 자체 농가 지원 프로그램으로 가난한 농부들을 지원하겠다고 큰소리치던 허쉬는, 톤당 400달러의 프리미엄이 아까워 거기서 200달러라도 낮춰보려고 선물 시장으로 직행했다. 그 결과는 선물 시장 가격의 급등이었고, 선물 시장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트레이더스는 ‘매우 현명한 결정’ ‘타 기업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반색하는 논평을 냈다.
국가와 기업의 한판 싸움이 시작되었다. 어떻게 귀결될 것인가. 서아프리카 카카오 생산국들은 작년 한 해 수출량이 저조했고, 현재 창고에 상당한 재고를 갖고 있다. 소비국에서 이 프리미엄을 지불하지 않으려고 선물 시장으로 거래가 몰린다면, 현물 거래 프리미엄을 얻기 어려운 생산국들은 협상에서 매우 불리한 위치에 놓일 것이다. 창고에 보관한 카카오의 품질이 천년만년 좋을 수는 없다. 시간이 지날수록 품질은 하락하고, 창고비는 불어난다. 현금이 돌지 않으면, 국가는 카카오 농부들에게 지급할 최소한의 구매비도 건지지 못하게 된다. 국가 경제를 위해 400달러의 프리미엄을 포기하고, 시장에 낮은 가격으로라도 던져서 재고를 털고 싸움을 끝내는 참담한 선택을 할 수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카카오 농부 생활 개선’을 일장춘몽으로 끝내지 않기 위해 우리가 할 일은 없을까. 한 달 후면 밸런타인데이다. 공정무역 초콜릿 구매로 응원을 보내도 되지만, 가난한 생산자의 가격 정책에 저항하는 기업에 정확한 메시지를 보내고 불매운동을 벌이는 것도 방법이다. 어려운 사람의 밥그릇을 쉽게 건드리는 사람들이, 때가 되어 내 밥그릇도 쉽게 건드리기 전에.
한수정 아름다운커피 사무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