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문화 pH 6.5] 요즘 애들의 역사는 반복된다

안지혜 진저티프로젝트 디렉터

최근 한 시민대학에서 MZ세대에 대한 강의를 했다. 하루 종일 격무에 시달린 뒤 퇴근한 X세대 중간관리자들과 자녀를 이해하고 싶은 4050 어머니들이 주 대상이었다.

보통 ‘Z세대’가 가진 특징이 어떤 성장 환경에서 비롯되었는지 맥락을 충분히 설명하면 ‘아, 그래서 그랬구나’ 하는 공감의 눈빛이 돌아오곤 했는데, 그날은 달랐다. 여기저기서 “우리도 힘들다”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왔다.

대표에게 바로 찾아가 컴플레인을 하는 바람에 곤란해진 부장, 업무를 요청하면 “이걸요? 제가요? 왜요?”가 돌아오니 결국 본인이 남아 야근을 한다는 팀장, ‘블라인드 앱’에 이상한 글이 올라오진 않는지 회사 평판 관리에 신경 쓰라는 사장 사이에서 눈치만 본다는 관리자까지.

‘MZ스럽다’도 옛말이고, 이제는 40대를 희화화하는 ‘영포티’라는 밈까지 등장했다. 세상살이도 퍽퍽한데 세대 간의 거리는 점점 멀어지는 듯하다. 한 지점에서 만날 수 없는 평행선처럼, 세대 차이는 왜 이토록 좁혀지지 않는 걸까.

◇ 세대 차이의 이유

우리가 말하는 세대 차이는 결국 ‘시간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서로 다른 세대는 같은 시대를 살지만, 같은 시간을 살고 있지는 않다. 사회학자 카를 만하임은 이를 ‘동시대의 비동시성(the non-simultaneity of the simultaneous)’이라 불렀다.

그는 “모든 사람은 완전한 동시대적 가능성 속에서 나이가 같은 사람들과, 나이가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고 있다. 각 개인에게 동일한 시간은 다른 시간이며, 비슷한 나이대의 사람들과 공유하는 자기 자신만의 시대다”라고 말했다.

단적인 예로 세월호와 같은 시대적 사건을 모두가 함께 목격했더라도, 청소년과 어른의 시선과 해석은 같을 수 없다. 청소년은 ‘가만히 있으라’는 말만 따르면 안 된다는 교훈(Lesson Learned)을 얻었을 것이고, 어른들은 지켜주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무력감을 얻었을 것이다.

세대란 단순한 나이의 구분이 아니다. 공통의 사건과 변화를 함께 겪으며 형성된 가치관, 정체성, 사고방식의 유사성이 세대를 만든다. 결국 세대란 서로 다른 시간과 감각을 공유한 사람들의 집합이다. 그러니 시대마다 “요즘 애들은 왜 그런지 모르겠다”라는 말이 반복되는 것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시대와 세상을 보는 시선이 다르다는 것이 세대 구분의 전제이기 때문이다.

◇ 시차를 건너는 어른들

앞서 언급한 만하임이 세대 문제를 분석한 논문을 발표한 해가 지금으로부터 거의 100년 전인 1928년이라는 사실에는 왠지 웃음이 슬며시 난다.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세대 차이는 갈등의 시작처럼 들리지만, 100년 전에도 있었고 앞으로도 반복될 역사가 만들어지는 과정이다. 역사의 리듬 속에서 기성세대가 ‘정(正)’이라면, 새로운 세대는 ‘반(反)’이며, 그 대립과 충돌 속에서 새로운 ‘합(合)’이 만들어진다.

강의가 끝난 뒤, 한 수강생이 담담히 말했다. “Z세대는 저와 다르다고만 생각했어요. 어른으로서 제가 무엇을 해야 할지는 고민하지 않았던 것 같아요. 회사에 가서 또 잘해봐야죠.”

다정함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지금의 시대에 필요한 건 의젓한 태도를 가진 어른들이라는 어느 책의 문장이 떠오른다. 기꺼이 다른 시차로 건너가 다음 세대를 껴안았던 ‘의젓한 어른들’이 만들어낸 합이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일 것이다.

덕분에 나도 조금 더 의젓한 어른이 되고 싶어졌다.

안지혜 진저티프로젝트 디렉터

필자 소개

건강한 변화가 시작되는 곳 (주)진저티프로젝트에서 디렉터로 일하고 있습니다. 성수동의 사회혁신가부터 군산, 밀양의 청년까지 섹터와 지역을 넘나들며 교육, 연구, 출판의 형태로 변화를 촉진해 왔습니다. 사회혁신가, 문화기획자는 어떤 조건과 환경 속에서 성장하는지, Z세대와 함께 일하기 위한 조직문화는 무엇인지 연구했습니다. 진저티프로젝트에서 매니저, 팀장에 이어 현재는 디렉터로서, 나의 성장을 넘어, 조직의 성장, 동료의 성장이 일어나는 건강한 환경을 만들어가기 위한 고민과 분투를 풀어내고자 합니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