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3일 만난 이범재 유니버설하우징협동조합 대표는 "유니버설디자인을 흔히 '모두를 위한 디자인'이라고 말하지만, 이 말을 뒤집으면 '모두가 조금씩 불편을 나누는 디자인'과 같다"고 말했다. /이건송 C영상미디어 기자
모두가 불편을 나누는 디자인… ‘유니버설 공동주택’ 확산을 꿈꾸다

[인터뷰] 이범재 유니버설하우징협동조합 대표 “주거 취약계층은 아파트보다 빌라, 다세대, 연립주택에 살 가능성이 커요. 문제는 장애인이나 고령자입니다. 이분들은 집안에 있는 낮은 문턱도 굉장히 불편하게 느껴요. 가장 편하게 지내야 할 주거 공간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하는 게 목표입니다.” 지난달 23일 서울 당산동 사무실에서 만난 이범재(61) 유니버설하우징협동조합 대표는 “모두가 편한 사회를 꿈꿔볼 수도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모두가 불편을 나누는 사회가 더 실현 가능하고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UD)이란 나이·성별·장애 등에 제약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설계를 뜻한다. 그의 바람은 지난 2016년 협동조합을 꾸리면서 실현되기 시작했다. 유니버설하우징협동조합은 일반 주택조합이나 재건축조합과 같이 소비자로 주택을 분양받기 위해 모인 곳이 아니다. 조합원들은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집을 임대주택으로 시장에 공급하기 위해 뜻을 모았다. 장애인과 전문가들이 설계한 ‘UD 주택’ 가장 눈여겨볼 점은 조합원의 구성이다. 이범재 대표는 조합 출범 때부터 장애인이나 노인 입주자에게 적절한 의료나 돌봄서비스 제공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했다. 이 때문에 조합원을 장애 당사자와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했다. 장애 당사자 그룹으로는 지체장애인 심미경(43) 부장을 포함해 시각장애인, 뇌병변장애인이 있다. 이들은 설계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형주택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어떤 것들이 필요한지 의견을 내고, 수정 단계에서도 도움을 준다. “집 안에 단차가 없으면 이동에 불편을 줄일 수 있어요. 그런데 습식 화장실에 단차를 없애버리면 물이 넘치게 되니까 어쩔 수 없이 단차를 둬야 합니다. 이때 어느 정도 높이면 휠체어 이용자들이 어렵지 않게 넘나들 수 있는지 자문하고

지난달 31일 만난 김재순 유스보이스 대표는 "청소년에게 국어, 영어, 과학만큼 ‘나다움’ 교육을 필수로 다루는 날이 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건송 C영상미디어 기자
“‘나다운 게 뭔데?’… 이 질문에 답을 찾아드립니다”

[인터뷰] 김재순 유스보이스 대표 학창시절, 장래희망을 묻는 어른들의 질문에 답을 망설였던 경험이 누구나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비영리스타트업 ‘유스보이스’는 청소년에게 미래 모습을 스스로 그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을 한다. 막연한 미래는 아니다. 흔한 드라마 대사처럼 ‘도대체 나다운 게 무엇인지’를 찾아가는 길을 동행하는 역할을 한다. “흔히 청소년에게 미래에 뭐 할 건지 꿈을 꾸라고 말하는데, 사실 아이들은 아직 다양한 경험을 해보지 않았어요. 10대 때부터 미래에 대해 빨리 정하라고 어른들이 말하고, 그게 마치 정답인 것처럼 당연시되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지난달 31일 서울 종로구 동락가에서 만난 김재순(37) 유스보이스 대표는 우리 사회에서 청소년을 대하는 어른들의 태도를 지적했다. 유스보이스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현재의 나에 대해 깊게 고민해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현재 진행 중인 ‘TMI 프로젝트’에선 청소년이 미션에 참여해 자기 발견하고 고민한 시간만큼을 시급으로 계산해 준다. 입버릇처럼 시간이 없다고 이야기하는 청소년들의 시간을 사서, 그들이 현재의 나에게 온전히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청소년 교육은 달성 목표가 뚜렷한 편이다. 성과 지표는 변화된 모습이다. 하지만 유스보이스는 그저 ‘청소년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에 집중한다. 이는 김 대표가 학창시절 유스보이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느낀 것들이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유스보이스는 21년 된 사업이에요. 제가 학창시절에 참여했던 프로그램이기도 하고요. 2년 전 다음세대재단의 사업에서 비영리 사단법인 형태로 스핀오프(독립 법인화)한 거죠. 열여덟 살 때 유스보이스를 처음 접하고, 주말마다 광주에서 서울로 버스를 타고 4시간씩 오가며 모든

박경돈 플립 대표/ 이건송 C영상미디어 기자
“한 달에 한 번, 청각장애인 플로리스트가 만든 꽃다발을 배달합니다”

[인터뷰] 박경돈 플립 대표 박경돈(30)씨는 한 주의 시작을 꽃으로 연다. 월요일 새벽이면 화훼 시장에 들러 다양한 꽃을 구입한다. 정성스럽게 고른 꽃을 청각장애인 플로리스트들과 예쁘게 구성해 포장하고, 전국으로 발송한다. 박씨는 청각장애인 플로리스트를 양성하고, 이들이 만든 작품으로 정기구독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회적기업 ‘플립(FLIP)’의 대표다. 현재 구독자만 2000명에 달한다. “저도 제가 꽃으로 사업을 하게 될 줄 몰랐어요. 친구 손에 이끌려 플로리스트 원데이 클래스를 들은 적이 있는데 그때부터 화훼 산업에 흥미를 갖게 됐어요. 그리고 원래 관심 있던 여성 청각장애인 취업 문제와 연결지어봤죠. 알고 보니 청각장애인과 플로리스트라는 직업이 ‘찰떡궁합’이더라고요.” 지난달 24일 서울 마포의 한 카페에서 박 대표를 만났다. 시야 넓고 색감 활용 능력 뛰어나 -왜 플로리스트가 청각장애인에게 좋은 직업인가요? “청각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시각이 발달했어요. 시야가 1.5배 넓고 시각 정보 습득이 빨라요. 색감 활용과 배치 능력도 뛰어나서 플로리스트 활동에 적합하죠. 여성 청각장애인들은 적성에 맞는 직업을 가져서 좋고, 화훼 업계는 능력 있는 플로리스트를 얻어서 좋아요. 서로 ‘윈윈(win-win)’하는 구조입니다. 문제라면 플로리스트는 수입이 불안정하다는 거예요. 졸업식, 크리스마스 같은 행사가 몰린 겨울에 비해 여름에는 수익이 뚝 떨어집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각한 방법이 꽃 정기구독이었어요. 제철 꽃을 배송해 소비자에게 계절감을 선물하죠. 구독자 300명이 생기면 청각장애인 플로리스트 1명이 직업을 얻는 구조입니다.” -실제로 직원들의 만족도는 어떤가요? “경남 양산에서 서울까지 플립의 교육을 들으러 왔던 친구가 있어요. 지금은 정직원으로 채용돼서 서울로 이사를 왔고요. 주변 환경을 모두 바꿀

"우리도 어엿한 '배구팀'이랍니다" 하나더하기의 안덕희(앞줄 가운데) 대표와 발달장애인 배구팀. /시흥=주민욱 C영상미디어 기자
발달장애인이 숨차게 운동하고, 마음껏 일하는 곳… 사회적기업 ‘하나더하기’

[인터뷰] 안덕희 하나더하기 대표 “발달장애인에게 운동은 필수예요. 하지만 성인이 되고 나면 그나마 학교에서 했던 체육 활동마저 할 수 없게 되죠. 초중고 학생부터 성인까지, 모든 발달장애인이 건강한 체육 활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어요.” 안덕희(51) 대표가 운영하는 사회적기업 ‘하나더하기’에서는 발달장애인이 마음껏 운동을 배울 수 있다. 2011년부터 발달장애인이 기초 체력을 올릴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배구, 태권도, 하키 등 종목도 다양하다. 지난 4월에는 시흥도시공사와 발달장애인 배구선수를 육성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선수 육성에 나섰다. 하나더하기의 도전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발달장애인에게 직업 재활 훈련 기회를 제공하는 공동작업장을 2015년부터 운영 중이다. 하나더하기 이름을 건 과자와 생활용품을 판매한다. 수익금은 다시 발달장애인 스포츠 복지 사업에 사용한다. 학생 50명, 성인 70명. 총 120명이 하나더하기의 구성원이다. 지난달 23일 경기 시흥의 ‘동키마켓’에서 안 대표를 만났다. 하나더하기 작업장과 연계된 카페로 바리스타 교육을 받은 발달장애인들이 직원으로 일한다. 노란색 그늘막을 지나 매장에 들어서니 밝은 음악과 커피 원두 가는 소리가 가득했다. 발달장애인의 ‘운동할 권리’ -가게가 정말 예쁘다. “그런가(웃음). 카페형 매장으로 꾸며봤다. 커피뿐 아니라 지역 생산품을 함께 판매하고 있다. 하나더하기 공동작업장에서 제작한 먹을거리와 생활용품도 있다. 건빵, 두부과자, 고구마 스틱 같은 먹거리를 대량 구매 후 소분해 판다. 협력업체인 생활공작소가 만드는 락스, 섬유유연제, 물티슈 같은 생활용품은 하나더하기에서 포장을 맡아서 하고 있다.” -다양한 도전을 하고 있다. 하나더하기의 주 사업은 무엇인가? “하나더하기의 시작이자 주축은 발달장애인을

청세담 7기 수료생인 송지희 채널톡 마케팅팀 매니저가 자기이해와 업무자세를 주제로 청세담 13기 수강생들과 얘기를 나누고 있다. /이건송 C영상미디어 기자
“선후배 함께 소셜섹터를 고민하다”… 청세담 ‘소셜아지트’ 개최

27일 오후 6시30분. 서울 종로구의 한 북카페가 선후배 만남의 장소로 변했다. 퇴근길 인파를 뚫고 한자리에 모인 이들은 소셜에디터 양성 프로그램 ‘청년, 세상을 담다’(이하 청세담) 동문이다. 청세담은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와 현대해상, 시민이만드는생활정책연구원이 함께 운영하는 공익 콘텐츠 전문가 양성 과정으로 지난 2014년부터 지금까지 300여명의 수료생이 주요 언론사와 소셜벤처·기업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했다. 이날 열린 ‘소셜아지트’에서는 사회에 진출한 선배 5명이 청세담 13기 수강생 30명과 마주 앉아 각자의 직무와 현장 경험을 공유했다. 소셜아지트는 A세션과 B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A세션에서는 정재인 오파테크 영업마케팅팀 주임(청세담 9기)과 정빛나 엔젤스헤이븐 후원홍보팀 사원(청세담 8기), 송지희 채널톡 마케팅팀 매니저(청세담 7기)가 자기이해와 업무자세를 주제로 짧은 강연을 진행했다. 이들은 ▲소셜섹터에서 오래 일하는 법 ▲나만의 이야기와 기록을 만드는 방법 ▲단단한 커리어를 쌓는 전략 등을 공유했다. 박찬우 청세담 13기 수강생은 “소셜섹터에 종사하는 선배들로부터 생생한 현장 얘기를 들을 좋은 기회였다”며 “자부심을 갖고 일하는 선배들을 보면서 내가 나아가야 할 길이 어디인지 방향을 잡게 됐다”고 말했다. 송지희 매니저는 “후배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내가 놓치고 있던 근본적인 것들을 다시 생각할 수 있었다”고 했다. B세션은 언론사에 일하는 조성은 프레시안 기자(청세담 9기)와 이민재 아웃스탠딩 기자(청세담 7기)가 맡았다. 이들은 언론사 입사 전략, 기자의 업무, 직업 환경 등에 대한 질문을 후배들과 주고받았다. 최다희 청세담 13기 수강생은 “기자를 꿈꾸는 예비 언론인으로서 현직에 있는 선배를 직접 만나 편안하게 이야기할 기회가 없기 때문에 기대가 컸다”며 “기자에 대해 막연한

‘청년, 세상을 담다’ 13기 입학식이 지난 8일 비대면으로 진행됐다./청세담 입학식 화면 캡쳐
“교육 통해 공익 전문가로 성장하길”

‘청세담’ 13기 비대면 입학식 소셜에디터 양성 프로그램 ‘청년, 세상을 담다(이하 청세담)’ 13기 입학식이 지난 8일 온라인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청세담은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와 현대해상, 시민이만드는생활정책연구원이 함께 운영하는 공익 콘텐츠 전문가 과정이다. 13기 수강생들은 8월까지 약 5개월간 비영리, 사회적경제, 기업의 사회 공헌 등 국내외 공익 분야에서 일어나는 이슈를 발굴·취재해 기사와 영상 등의 콘텐츠로 제작하는 역량을 키운다. 지난 2014년 1기 수료생 배출 이후 8년간 청년 300여 명이 프로그램을 수료했고, 주요 언론사와 대기업·소셜벤처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했다. 이날 입학식에 참석한 수강생 35명은 약 3대1의 경쟁률을 뚫고 청세담에 합격했다. 이들의 희망 진로는 기자·PD 등 언론인, 기업 사회 공헌 담당자, 비영리단체 취·창업 등으로 다양했다. 13기 수강생들은 앞으로 ▲저널리즘과 미디어 강연 ▲공익 분야 현장 체험 ▲영상 제작 실습 등의 교육을 받는다. 기업 사회 공헌 담당자, 임팩트 투자자 등 제3섹터 전문가들에게 현장 이야기를 전해 듣는 시간도 갖는다. 교육 기간 내에 수강생들은 기사와 영상물 등의 콘텐츠를 과제로 제출하고, 현직 기자에게 실전 멘토링도 받는다. 입학식에 참석한 이준규 현대해상 사회공헌파트 부장은 “코로나 장기화로 활동에 제약이 많은 가운데 청년들의 밝은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며 “이번 13기 교육을 거쳐 수강생들이 공익 분야 전문가로 성장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수연 더나은미래 기자 yeon@chosun.com

[알립니다] ‘청년, 세상을 담다’ 13기 최종 합격자 발표
[알립니다] ‘청년, 세상을 담다’ 13기 최종 합격자 발표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와 현대해상, 시민이만드는생활정책연구원이 함께하는 현대해상 소셜에디터스쿨 ‘청년 세상을 담다(청세담)’ 13기 최종 합격자를 발표합니다. 청세담 13기 입학식은 오는 4월 8일(금)에 비대면(zoom)으로 진행합니다. ▲입학식 일시: 4월 8일(금) 오후 1시30분▲입학식 방식: 줌(zoom)▲문의: 더나은미래 청세담 담당자 (02)724-7867, shye@chosun.com ※합격자 분들에게는 안내 메일과 문자를 발송합니다.  최종 합격자는 아래와 같습니다.(가나다순, 이름 / 생년월일) 01_ 강*원 1997031002_ 강*민 2001072303_김*랑 1999101804_김*란 1998062505_김*슬 19990802 06_김*정 2000013107_남*연 2000052608_노*린 1998100709_박*빈 1998071010_박*성 19990414 11_박*영 1999112612_박*민 1998081413_박*우 1999091714_손*영 1996060715_송*빈 20010319 16_신*은 2002082117_심*경 1997073118_양*선 2000112819_오*애 1994122920_유*희 19970913 21_이*연 1998081522_이*완 1998102423_이*이 1997102424_이*리 1999111025_이*선 20030105 26_이*조 1999010927_임*경 1997020328_전*민 2000011329_정*빈 2001031730_주*민 19991115 31_최*희 1999110232_최*영 1997100733_하*원 2001010334_한*지 2001010335_허*현 19990728

[알립니다] ‘청년, 세상을 담다’ 13기 면접 대상자 발표
[알립니다] ‘청년, 세상을 담다’ 13기 면접 대상자 발표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와 현대해상, 시민이만드는생활정책연구원이 함께하는 현대해상 소셜에디터스쿨 ‘청년 세상을 담다(청세담)’ 13기 면접 대상자를 발표합니다. 면접은 오는 22일(화) 오후 1시부터 그룹별 비대면(zoom) 면접으로 진행합니다. ▲면접 일시: 3월 22일(화) 오후 1시부터 ▲면접 방식: 줌(zoom) ▲문의: 더나은미래 청세담 담당자 (02)724-7867, shye@chosun.com ※ 면접대상자에게 문자 메시지와 이메일로 개별 안내될 예정입니다. 16일(수) 오후 5시까지 개별 연락을 받지 못하신 분은 꼭 연락을 주시길 바랍니다. ▲면접 시간 및 대상자 명단 13:00~ 13:15김*은 19961214손*영 19960607심*경 19970731홍*윤 19941111 13:15~ 13:30김*호 19970908김*란 19980625박*빈 19980710이*연 19980815 13:30~ 13:45김*슬 19990802박*영 19991126이*연 19980923허*현 19990728 13:45~ 14:00백*혜 20010111원*림 20000926전*민 20000113 14:00~ 14:15박*연 20020618송*린 20020623이*연 20021001이*선 20030105 14:30~ 14:45강*원 19970310오*애 19941229임*정 19981008임*경 19970203 14:45~ 15:00박*진 19990519유*은 19990302이*조 19990109임*용 19990927 15:00~ 15:15김*훈 19990929윤*숙 19991112이*영 19991104주*민 19991115 15:15~ 15:30강*민 20010723조*은 20011112한*나 20000517현*주 20001109 15:30~ 15:45곽*호 19950311신*은 20020821유*진 20020612이*석 19950628 15:45~ 16:00김*경 19980527박*민 19980814오*산 19971218최*영 19971007 16:15~16:30노*린 19981007박*우 19990917이*완 19981024최*정 19990913 16:30~ 16:45강*림 19990929김*랑 19991018이*리 19991110최*희 19991102 16:45~ 17:00김*정 20000131심*은 20001206양*선 20001128한*지 20010103 17:00~ 17:15곽*한 19940413유*선 19960422유*희 19970913이  * 19950913 17:15~ 17:30김*영 19980915박*성 19990414이*이 19971024이*철 19990223 17:30~ 17:45김*주 19990417남*연 20000526송*빈 20010319안*원 19991204 17:45~ 18:00강*수 20030715정*빈 20010317하*원 20010103

“휠체어 그네는 놀이기구가 아니다” 7년째 표류하는 ‘장애아동 놀 권리’

김주현(가명·9) 양은 야외 놀이터에서 놀아본 기억이 거의 없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동네 놀이터가 폐쇄하기 전부터 그랬다. 장애로 인해 하반신에 힘을 줘야 하는 시소나 그네 등 대부분의 놀이기구를 타기 어렵다. 몇 년 전만해도 부모님이 미끄럼틀 위에 주현양을 올려주면 언니가 뒤에서 감싸 안고 내려오곤 했다. 이제는 키도 크고, 체중도 늘어 이마저도 쉽지가 않다. 휠체어를 타는 장애아동에게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시도됐던 무장애 놀이터도 확산이 주춤하다. 도입 7년째, 어린이놀이기구 인정 못 받은 휠체어 그네 모든 어린이가 장애와 관계없이 놀 권리를 누리도록 한 최초의 통합놀이터 ‘꿈틀꿈틀 놀이터’가 조성된 지 지 5년이 지났다. 하지만 현행법에는 이른바 ‘무장애통합 놀이기구’를 놀이터에 설치할 규정이 없다.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제2조에 따르면, 어린이 놀이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상 안전인증대상 어린이제품으로 정하고 있다.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 제17조에 따라 안전인증을 받고,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시행령에서 규정한 장소에 행정안전부 고시인 어린이놀이시설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뒤 설치검사를 받아야 한다. 장애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아동이 탈 수 있게 한 휠체어 그네는 안전인증대상 어린이제품이 아니다. 어린이놀이시설의 시설기준에도 휠체어 그네 설치와 관련한 내용이 없어 설치검사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물론 어린이 놀이기구가 아니라 해서 어린이 놀이시설에 설치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건 아니다. 소프라노 조수미씨가 학교와 시설에 기증한 휠체어 그네는 안전인증 문제로 철거됐다가 안전인증대상이 아니라는 통보를 받고 재설치된 바 있다. 문제는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관리가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서울 종로구 마로니에공원에도

“환경과 사람 모두 지키는 화장품 만듭니다”

[인터뷰] 정마리아·박준수 톤28 공동대표 “진정한 아름다움은 나와 환경이 조화를 이룰 때 갖춰집니다. 우리는 단순히 화장품을 파는 게 아닙니다. 소비자들이 변화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제품과 그 가치를 함께 팔고 있죠.” 정마리아(44) 톤28 공동대표는 화학물질이 없고 동물실험을 거치지 않은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에 오랜 시간 매달렸다. 이렇게 만든 약 20개의 제품은 영국 비건협회 인증을 받았다. 아모레퍼시픽과 벤처 투자사들로부터 받은 투자금도 45억원에 달한다. 해외 반응은 더 뜨겁다. 지난 2019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화장품 박람회 ‘프랑스 파리 카루젤 뒤 루브르’에서 많은 바이어의 호응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지난달 26일 톤28의 정마리아 공동대표와 박준수(42) 공동대표를 경기 성남 연구실에서 만났다. 사람과 환경을 모두 고려하는 화장품 “화장품 시장은 마케팅 싸움에 몰두해 있어요. 저희는 마케팅팀이 없습니다. 대신 제품 연구개발과 제작에만 인력의 3분의 1이 붙죠. 마케팅보다 ‘알맹이’를 중시한다는 겁니다.”(정마리아) 톤28은 제품을 종이용기나 알루미늄 용기에 담는다. 플라스틱은 최소화한다. 종이용기는 화장품 입구에 있는 플라스틱과 알루미늄 캡을 제외하곤 전부 종이로 만들어졌다. 플라스틱만 떼어내고 종이로 분리배출하면 된다. 파리에서 열렸던 화장품 박람회에서 톤28이 주목받았던 이유 중 하나다. 박 대표는 “사업 초창기에는 내용물인 천연성분 화장품에만 집중해서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했다”고 말했다. 그러다 고민이 깊어졌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너무 많이 나왔어요. ‘나와 환경을 같이 생각하는 아름다움을 만들자’는 회사 슬로건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조금 더 친환경적인 용기를 만들어보자고 결심했어요. 생분해성 플라스틱도 고려했지만 화장품을 담기엔 물질의 안정성이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종이로 만들려고 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