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위기와 비즈니스의 미래 테슬라와 블랙록은 왜 기후테크에 집중할까. 기후위기 시대에서 환경을 위한 개인의 역할도 중요하다. 하지만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선 국가와 기업의 변화가 필수적이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선 재생에너지 설비를 갖추고 무탄소 기술을 만들어내는 등 산업 구조를 완전히 바꿔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 세계에서 이상 기후를 경험하고 있음에도 단기 성장에 주력하는 기업들의 풍토도 여전히 존재한다. 변화하지 않으면 미래가 없다는 사실을 체감하고 있음에도 말이다. 기후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국가와 기업들의 사례를 통해 우리에게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책이다.김지석 지음, 라이스메이커, 1만8500원 유언을 만난 세계 살고자 해서 죽음에 이른 사람들의 이야기. 장애인을 차별하는 세상에 목숨을 걸고 저항했던 ‘장애해방열사’ 여덟 명의 흔적을 담았다. ‘열사’라는 말로 수식했지만 이들의 죽음은 결코 영웅적이지 않다. ‘도로의 턱을 없애달라’ ‘노점을 할 수 있게 허락해달라’ ‘기초생활수급비를 현실화해달라’는 요구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삐뚤어진 글씨에 맞춤법도 틀린 ‘이루어지지 안는 것들을 꼭 이어주십시요’라는 유언은 오늘날 장애인 운동의 기틀이 됐다.정창조 외 6명 지음, 오월의봄, 1만8000원 그린 스완 ‘그린 스완’은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의 파괴적 위기를 의미한다. 전 세계의 경제가 예상하지 못한 사건으로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블랙 스완’에서 파생됐다. 책은 그린 스완을 위기가 아니라 자본시장을 지속 가능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라고 새롭게 정의한다. 기후변화는 예측할 수 있는 명확한 사실이 됐고, 이에 대한 대응에 따라 미래 자본주의의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임팩트’ ‘가치’ ‘좌초자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