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관 투자자 4명 중 3명은 ESG 성과가 저조한 기업에 대해 투자를 회수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ESG 경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질 좋은 정보는 충분하지 않다고 우려했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은 1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 EY 글로벌 기관 투자자 6차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전 세계 19국 320개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기업의 비재무정보를 검토하는가’ 질문에 대해 2018년에는 체계적으로 검토한다는 응답이 32%였으나 올해는 78%로 증가했다. 응답자의 90%는 코로나19 이후 투자를 결정할 때 ESG 성과를 더욱 중요하게 여긴다고 답했다. 지난 1년 동안 ‘녹색 회복(Green recovery)’이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수혜를 바탕으로 투자를 결정했다는 답변도 92%에 달했다. 74%는 ESG 관련 성과가 저조한 기업에 대해서는 투자를 회수할 의향이 코로나19 이전보다 더 높아졌다고 했다. 기관 투자자들은 각 기업이 설정한 ESG 목표를 달성할 역량이 있는지도 직접 확인하고 있었다. ▲최고경영자(CEO)에게 직접 보고하는 ESG 책임자나 최고지속가능성책임자(CSO)가 있는지(53%) ▲조직문화가 ESG 목표에 부합하는지(52%) ▲기업이 ESG 보고에 대해 독립적인 제3자의 인증을 받고 있는지(48%) ▲기업 이사회가 ESG 성과에 대한 감독권한이 있는지(42%) ▲경영진 보수가 ESG 성과와 연계돼 있는지(42%) 등을 고려했다. ESG 리스크에 대한 검토도 강화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응답자 중 77%는 향후 2년 동안 기후 변화로 인한 ‘물리적 리스크’를 확인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기후 변화가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 제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들여다본다는 것이다. 이 같은 답변은 지난해보다 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