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대생, 조부모 세대보다 폭염 7배 더 겪는다”

급격한 기후변화를 막지 못하면 2020년대 태어난 신생아들이 조부모 세대보다 폭염을 7배 더 겪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6일(현지 시각)  국제구호개발 NGO세이브더칠드런과 브뤼셀자유대학(VUB)이 이끄는 국제기후연구팀은 연령대별 극한 기후 피해 경험을 분석한 보고서 ‘기후위기에서 태어난(Born into the Climate Crisis)’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3도 상승할 경우 2020년대 태어난 신생아들은 평생동안 평균 30번의 폭염을 겪어야 한다. 이는 조부모 세대인 1960년대생보다 7배 많은 수치다. 또 홍수와 농작물 피해는 조부모 세대보다 2.8배 더 겪어야 하고, 가뭄과 산불은 각각 2.6배, 2배 더 경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기후위기에 대한 세대 간 불평등이 드러난 것”이라며 “오늘날 40세 미만의 사람들은 폭염과 가뭄, 홍수 등을 겪지 않을 확률은 0.01%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극한 기후 노출에 대한 지역적 편차도 있었다. 2016년과 2020년 사이에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 태어난 5300만 명의 어린이는 조부모 세대보다 4배 더 많은 극한 기후를 경험하지만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에서 태어난 같은 또래의 1억 7200만명은 5.7배의 극한 기후에 직면할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세계 각국의 탄소배출 저감을 통해 지구 기온 상승을 억제한다면 어린이들이 겪는 극한 기후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섭씨 1.5도 유지한다면 2020년대 태어난 신생아들이 겪어야 하는 폭염이 45% 가량 줄어든다. 또 가뭄은 39%, 홍수 38%, 농작물 피해 28%, 산불 10%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빔 티에리

한국은행 “탄소세 부과, 경제 성장률 낮추고 물가는 높인다”

정부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탄소세를 도입할 경우 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물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한국은행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기후변화 대응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선진국이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탄소세 도입을 논의하고 있지만, 이 같은 대책이 경제에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한국은행의 거시모형에 따라 두 가지 시나리오를 분석했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지구 평균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2도 이내로 억제하는 경우다. 이를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20년 6.7억t(톤)에서 2050년 2억t으로 약 70% 감축해야 한다. 두 번째는 온도 상승폭을 1.5도 이하로 제한하는 시나리오다. 2050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20년 대비 100% 감축해야 한다. 정부는 설정된 목표에 따라 탄소 배출에 비용을 부과한다. 이 같은 규제는 기업의 생산비용을 상승시키고, 결국 기업 이익 감소와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보고서의 주장이다. 1.5도 이하로 억제하는 두 번째 시나리오의 경우 2도 이내로 억제하는 첫 번째 상황보다 탄소세 부과의 영향이 평균 4배 높게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없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2021~2050년 GDP 성장률이 연평균 0.08%p 하락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평균 0.02%p 높아졌다.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같은 기간 GDP 성장률이 연평균 0.32%p 떨어졌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09%p 증가했다. 보고서는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 목표치를 0.5도 추가로 낮추기 위해서는 상당한 희생이 수반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모형에서 반영하지 못하는

“기후변화로 집 떠나는 ‘기후이주민’ 향후 30년간 2억명 발생”

해수면 상승, 사막화 등 기후변화로 거주지를 떠나야 하는 ‘기후이주민’이 향후 30년간 최대 2억명 이상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3일(현지 시각) 세계은행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그라운즈웰 2.0(Groundswell 2.0)’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2050년까지 ▲라틴아메리카 ▲북아프리카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 ▲동유럽·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아시아·태평양 등 6개 지역에서 기후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자국 내 이주민 수를 분석했다. 보고서는 각국 정부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즉각 대응하지 않을 경우, 해수면 상승과 물 부족, 농작물 생산성 저하 등으로 인해 전 세계 2억1600만명의 이주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후이주민이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 곳은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이다. 세계은행은 해당 지역이 농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기후변화로 사막화와 물 부족 문제 등이 발생하면 2050년까지 8600만명의 이주민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동아시아와 태평양에는 4900만명, 남아시아에는 4000만명, 북아프리카에 1900만명, 라틴아메리카 1700만명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기후이주민은 2030년대부터 숫자가 늘어나고, 2050년이 되면 최빈국들에 큰 문제로 다가올 것”이라고 했다. 반면 전 세계가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즉각적으로 시행하고 생태계 복원, 개발도상국 원조 등 지속 가능한 개발이 이뤄진다면 기후이주민을 4400만명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르겐 보겔 세계은행 지속가능발전그룹 부총재는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은 기후이주민이 발생하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며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조치는 즉각적이고 전 세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강명윤 더나은미래 기자 mymy@chosun.com

“기후변화, 인류 건강에 악영향”… 국제 200여 의학학술지 첫 공동 성명

전 세계 233개 보건의학 학술지가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위협을 경고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영국의학저널(BMJ),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 랜싯 등 국제학술지는 6일(현지 시각) “지구 온도 상승과 생물 다양성 파괴는 인류 건강에 치명적인 해를 끼칠 위험이 있다”며 전 세계 지도자가 긴급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각국 정부와 금융 기관, 기업들이 2050년 탄소제로를 목표로 다양한 전략을 펴고 있지만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번 성명문은 오는 11월 영국에서 열리는 유엔기후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대책을 마련을 요구하기 위해 발표됐다. BMJ는 “이렇게 대규모로 성명문을 발표하는 것은 처음”이라며 사태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지난 20년 동안 65세 이상 노인의 열 질환 관련 사망률은 50% 이상 증가했다. 기온 상승은 탈수, 신장 기능 상실, 피부 악성 종양, 알레르기, 임신 합병증을 야기했다. 열대성 감염률과 심혈관·폐질환 사망률도 높였으며 정신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특히 어린이, 노인, 소수민족, 빈곤층 등 취약 계층이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지구 온난화로 전 세계 주요 작물의 수확량도 줄었다. 1981년 이후 주요 작물 수확량은 1.8~5.6% 감소했다. 성명서는 “극단적인 기후변화와 이로 인한 토양 고갈은 영양실조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성명서는 국제적 형평성을 강조하며 부유한 국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의 환경 위기는 일찍이 산업화를 이룬 선진국에 더 큰 책임이 있지만, 이로 인한 피해는 저소득 국가가 더 많이 받고 있기 때문이다. 취약 국가의 불안한 식량 안보, 동물 매개 질환의 확산,

“팬데믹으로 인한 탄소배출 감소, 기후변화에는 영향 못 줘”

코로나19로 인한 경제활동 감소로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이 감소했지만 기후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왔다. 26일(현지 시각) CNBC는 미국국립해양대기청(NOAA)의 ‘2020년 기후현황 보고서(State of the Climate report In 2020)’를 인용해 지난해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 침체로 탄소 배출량이 약 7% 감소했지만 온실가스 농도는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NOAA의 ‘기후현황 보고서’는 60개국 530여 명의 과학자의 연구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이번 보고서는 25일 미국기상학회회보(BAMS)에 발표됐다. NOAA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지구 표면의 연간 지구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412.5ppm으로 2019년보다 약 2.5ppm 증가했다. 이는 빙하시추 조사로 알아낸 지난 80만 년 동안의 농도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NOAA는 “이번 보고서는 기후 변화를 이끄는 요인이 1년보다 훨씬 긴 시간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멈추는 데 훨씬 더 오랜 시간에 걸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상기시켜준다”고 설명했다. NOAA는 이산화탄소 농도뿐 아니라 지난해에 기록한 심각한 기후 지표들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9년 연속 세계 평균 해수면이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지난해의 세계 평균 해수면은 위성 측정이 시작된 1993년 평균보다 약 9.1cm 높았다. 또 연간 대기 중 메탄 증가량은 14.8ppm로 체계적인 측정이 시작된 이래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번 보고서에 대해 25일 성명을 발표한 에디 버니스 존슨 미국 텍사스주 하원의원은 “과학자들이 기후 위기에 대해 다시 한 번 경고를 보냈다”며 “더 신속하고 강력한 조치가 없이는 매년 이와 같은 심각한 기록들이 세워질 것”이라고 했다. 강명윤 더나은미래

“마다가스카르 40년 만에 기록적 가뭄으로 전례 없는 기근 겪어”

아프리카 섬나라 마다가스카르가 기후변화에 의해 발생한 기록적 가뭄으로 심각한 기근을 겪고 있다. 이번 기근으로 영양실조를 겪는 5세 미만 영유아가 50만 명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25일(현지 시각) 영국 BBC 보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지난 2019년부터 마다가스카르가 겪고 있는 가뭄의 원인으로 기후 변화를 꼽았다. 크리스 펑크 기후위험센터(Climate Hazards Center) 소장은 “마다가스카르의 가뭄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과 이상 기후로 발생하고 있다”며 “기후변화 가속화로 가뭄은 계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다가스카르를 강타한 이번 가뭄은 1981년 이후 가장 심각한 가뭄이다. 특히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강수량은 평년 대비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 같은 가뭄은 농작물 수확에 큰 영향을 줘 마다가스카르의 기근을 야기하고 있다. 마다가스카르는 전체 인구 2500여 만명 중 약 75%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은 이번 가뭄으로 마다가스카르의 5세 미만 영유아 최소 50만 명이 심각한 영양실조를 겪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WFP가 지난 5월 집계한 18만 명보다 크게 늘어난 수치다. 또 WFP는 현재 약 3만명이 유엔에서 정한 ‘식량안보 인도주의 단계 통합분류(IPC)’의 가장 심각한 단계인 ‘기근과 인도주의적 재해’에 처한 것으로 추산했다. WFP는 “기후변화가 야기한 가뭄으로 농작물 수확량이 크게 줄면서 마다가스카르 주민들은 곤충이나 선인장 잎을 먹으며 연명하고 있다”고 상황을 전했다. 마다가스카르 구호단체 ‘시드(Seed)’에 따르면 가뭄으로 인한 식량 부족으로 현지 시장 물가가 3년 전보다 3~4배 가까이 상승했다. 시드는 “식량을 구매할 돈을 구하기 위해 땅을 팔고 있고, 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지구 1.5도 상승, 10년 빨라졌다”…2040년 내에 도달

지구 온도가 2040년 내에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상승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난달 26일부터 지난 6일까지 진행된 제54차 총회에서 승인한 ‘IPCC 제6차 평가보고서(AR6) 제1실무그룹(WG1)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에서 제시했던 지구온난화 1.5도 도달 시점이 2030~2052년에서 2021~2040년으로 10년가량 앞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지구온난화는 인간 활동으로 누적된 이산화탄소 배출과 명백한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밝혔다. 2019년 기준 이산화탄소 농도는 410ppm, 메탄 농도는 1866ppb, 아산화질소 농도는 332ppb였는데 2013년에 발간한 ‘제5차 제1실무그룹 보고서’에 비해서 각각 19ppm, 63ppb, 8ppb씩 상승한 수치다. 현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지난 200만년 동안 전례 없는 수준이었다. 지난 2013년에는 80만년 동안 전례 없는 수준이었다고 밝힌 바 있다. 전 지구 지표면 온도는 산업화 이전 시기(1850~1900년) 대비 2011~2020년에는 1.09도였다. 2013년에 비해서는 0.31도가 상승했다. 지표면 온도와 더불어 해수면도 상승했다. 1901~2018년 사이 전 지구 평균 해수면 높이는 0.2m 상승했다. 1901~1971년 사이에는 연간 1.3mm의 속도로 상승하던 해수면도 2006~2018년에는 연간 3.7mm씩 상승했다. 15년 전부터는 이전보다 약 2.85배 빨리 해수면이 상승한 것이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미래 기후를 예측했다. 세기말인 2081~2100년에는 온실가스를 최소로 내보내는 시나리오에서도 1~1.8도 수준의 지표면 온도 상승은 피할 수 없었다. 가장 많이 배출하는 시나리오일 때는 3.3~5.7도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산업화 이전 시기 대비 1.5도 지구온난화는 대부분 시나리오에서 가까운 미래에 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후변화가 불러온 대가뭄…호주 농장 수익 23% 줄었다”

지난 20년간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호주 농장 수익이 23%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농업자원경제과학국(ABARES)는 지난달 30일(현지 시각) 연구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지난 2001년부터 20년간 기후변화로 인해 연간 평균 농장 수익이 23% 감소했다고 밝혔다. 피해 금액은 농장당 평균 2만9200달러(약 3358만원)에 달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호주의 평균 기온은 1910년과 비교해 약 1.4도 증가했다. ABARES는 기온 상승으로 내륙 지역의 강우량이 점차 감소하고 가뭄은 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심각한 가뭄을 겪었던 2006~2007년엔 농가 수익이 80% 가까이 떨어지기도 했다. ABARES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낮은 평균 강우량과 높은 평균 기온은 농장 생산성과 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했다. 전망도 어둡다. ABARES는 2000년 이전 수준과 비교해 2050년 평균 겨울철 강우량은 최대 30%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경우 농장 수익은 절반 가까이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제라드 그린빌 ABARES 전무이사는 “지난 20년간 계절적 조건은 호주 농업인에게 매우 가혹했다”며 “전 세계가 기후변화를 억제하고 농업인들이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연구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강명윤 더나은미래 기자 mymy@chosun.com

“2050년까지 탄소중립 성공하면 7400만명 생명 구한다”

세계 각국이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면 7400만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9일(현지 시각) 다니엘 브리슬러 콜롬비아 대학 교수는 국제 과학 저널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이 같은 내용의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막지 못해 세기말인 2100년까지 기온이 4.1도 상승할 경우 8300만명에 달하는 사망자가 나올 것으로 예측했다. 브리슬러 교수는 “이번 연구에는 열 관련 사망자만 측정한 것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 태풍 등 피해를 포함한다면 더 많은 사망자가 생겨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개인의 탄소배출로 인한 사망자 수치도 계산했다. 그 결과 탄소가 4434t 발생할 때마다 1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전 세계 평균적으로 12.8명이 평생 방출하는 규모다. 국가별로 따져봤을 때 미국은 3.5명, 독일 5.6명, 중국 8.4명에 해당하는 양이다. 브리슬러 교수는 “탄소 배출에 따른 기온 상승으로 발생하는 사망은 지구에서 가장 더운 지역으로 꼽히는 아프리카와 중동, 남아시아 등에서 대부분 일어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개인 활동으로 인한 배출량을 조사했지만, 탄소 배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업과 정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브리슬러 교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개인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저탄소 기술 및 에너지 투자 등 국가 차원의 대규모 정책이 중요하다”고 했다. 강명윤 더나은미래 mymy@chosun.com

“미국·캐나다 살인 폭염,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 탓”

최근 미국 북서부와 캐나다 서부를 강타한 폭염은 인간 활동으로 유발된 기후변화 탓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7일(현지 시각) AP통신에 따르면, 미국 프린스턴대학 가브리엘 베치 교수 등 기후분석 연구단체인 ‘세계기후특성(WWA)’ 소속 과학자 27명으로 이뤄진 연구팀은 섭씨 50도에 육박하는 기록적인 폭염의 원인을 인간이 배출한 온실가스로 지목했다. 이들은 최근 미국 북서부와 캐나다 지역에서 오른 기온 중 약 2도가 온실가스의 영향이며, 기후변화는 폭염 발생 가능성을 최소 150배 증가시켰다고 밝혔다. 북미 서부 지역에서는 지난달 25일부터 섭씨 49도에 이르는 폭염이 계속되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선 한 주간 719명이 돌연사하고 150건 넘는 산불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지구 평균기온이 섭씨 0.8도 더 오르면 이같은 극단적 폭염이 5~10년마다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탄소 배출이 현재 속도로 계속될 경우 40~50년 내에 기온은 0.8도 추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가브리엘 배치 프린스턴대학 기상학과 교수는 “극단적 폭염이 상대적으로 흔한 현상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크리스티 에비 워싱턴대학 보건·지구환경센터 교수는 “작은 온도 차이가 인간의 건강에 큰 영향을 준다”면서 “이번 폭염으로 인한 희생자는 앞으로 수백에서 수천 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가려내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 유무에 따른 기온을 비교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현재 미발표 심사단계로 향후 심사를 거쳐 전문 학술지에 게재될 예정이다. 강태연 더나은미래 인턴기자 kite@chosun.com

“극한 기후로 매년 500만명 사망한다”

전 세계에서 극한 기후로 발생하는 사망자가 매년 5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현지 시각) 호주 모나쉬대학 연구팀은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전 세계 극한 기후와 사망률의 연관성을 연구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는 43개국 750개 지역에서 진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극한 기후로 인해 매년 약 508만3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는 전체 사망 원인의 9.43%에 달하는 수치다. 사망자 중 8.52%는 극한의 추위와 관련이 있었고, 0.91%는 더운 날씨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아시아에서 약 260만명(51.49%)으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고, 아프리카 120만명(23.88%)으로 뒤를 이었다. 연구팀은 대부분의 사망자가 추위에 노출돼 발생했지만, 지구 온난화의 가속화로 이러한 추세가 역전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추위 관련 사망은 0.5% 감소했고 고온 관련 사망률은 0.2% 증가했다. 또 같은 기간 전 세계의 평균 일일 온도는 10년마다 섭씨 0.26도씩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는 “20년간 고온 관련 사망자의 증가율과 온도 증가 추세가 유사하다”며 “지구 온난화와 고온 관련 사망자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유밍 궈 모나쉬대학 교수는 “올여름 북반구를 휩쓸고 있는 폭염으로 이미 수백명의 사람들이 사망했다”며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는 장기적으로 전 세계 사망자를 늘어나게 할 것”이라고 했다. 강명윤 더나은미래 기자 mymy@chosun.com

16개국 소비자 51% “소비 행동으로 기후변화 대응할 수 있다”

16개국 소비자의 절반 이상이 소비 행동으로 기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글로벌 컨설팅기업 민텔은 5일(현지 시각) ‘2021 민텔 지속가능성 지표(Mintel Sustainability Barometer)’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영국, 브라질, 미국, 한국 등 16개국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조사 결과, 평균적으로 소비자의 약 51%는 자신의 소비 행동이 기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응답했다. 국가별로 캐나다가 65%로 가장 높았고, 반면 일본은 15%로 소비 행동을 비관적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 중 54%는 아직 지구를 구할 시간이 있다는 것에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47%가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과 같이 제품이 환경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보여주는 라벨링을 원한다고 응답했다. 또 42%의 응답자는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소비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 5월 발표한 ‘탄소중립 에너지 로드맵 보고서’를 통해 소비 행동이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IEA는 “탄소제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감축량의 절반 이상은 소비자의 선택과 관련이 있다”고 했다. 민텔은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소비자들의 심리가 실제 환경을 위한 소비 행동의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리차드 코프 민텔 선임컨설턴트는 “대부분 국가의 소비자들이 소비 행동으로 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