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정순 ‘우리들의 눈’ 디렉터 17년 전 회화과 교수 관두고 시각장애인예술협회 설립 처음엔 예술적 호기심에 시작 점차 깊은 사회적 편견 느껴 사진 찍고 그림 그리고… 그들도 예술활동 할 수 있어 표현하고자 하는 마음 같죠 ‘바람도 찍을 수 있나요?’ 한 여성의 귀를 촬영한 사진 옆에 이런 글귀가 적혀 있다. 한빛맹학교에 다니는 김희수(15·중3)양이 찍은 사진이다. ‘보이지 않는데 어떻게 사진을 찍을까’ 생각하면 오산이다. 지난 16일 찾은 서울 종로구 화동 ‘우리들의 눈’ 갤러리에는 한빛맹학교·서울맹학교·청주맹학교·충주성모학교 등 시각장애인 학생 100여명의 작품들이 전시돼 있었다. ‘어나더 아트 클래스(ANOTHER Art Class)’라는 제목의 전시회엔 사진뿐 아니라 그림·입체·타일·판화 등의 작품도 있었다. “보이지 않아도 다른 감각을 활용해 시각적인 표현을 할 수 있어요. 사람들이 그걸 잘 모를 뿐이죠.” 엄정순(52) 한국시각장애인예술협회 우리들의 눈(이하 ‘우리들의 눈’) 디렉터가 입을 열었다. 뮌헨 미술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건국대 회화과 교수로 활동하던 그녀는 17년 전, 교수를 그만두고 시각장애인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단체를 설립했다. “앞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어떻게 생각을 표현하는지 알고 싶어 3년간 맹학교에서 미술 자원봉사활동을 한 게 계기였다”고 한다. 예술적 호기심에서 출발했지만, 엄 디렉터는 점차 시각장애인에 대한 뿌리 깊은 편견을 느낄 수 있었다. ‘시각장애인은 아무것도 못 보고, 미술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도 없다’면서 사회는 이들의 가능성을 외면했다는 것. ‘우리들의 눈’은 현재 4개 맹학교를 찾아가 매주 1회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11개 맹학교와 함께 순회 아트프로그램 ‘장님 코끼리 만지기’ 프로젝트(시각장애 학생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