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 아이코 코자키(Aiko Kozaki) JANPIA 임팩트 투자부문장 매년 일본 내 은행에는 약 1500억 엔(한화 약 1조4000억 원)의 자금이 비활성화된다. 이 중 실제 계좌주에게 반환되는 돈은 500억 엔(한화 약 4690억 원)에 불과하다. 일본은 2018년부터 10년 이상 거래가 없는 휴면예금을 공익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했다. 실제로 일본 정부가 민간 공익활동을 위해 활용한 휴면예금은 2023년 한 해에만 107억 엔(한화 약 1000억 원)에 달한다. 휴면예금 배분을 맡은 기관은 일본공익활동네트워크(Japan Network for Public Interest Activities·이하 JANPIA)다. 일본경제단체연합회가 설립한 JANPIA는 2019년 일본 정부로부터 휴면예금 배분 권한을 위임받은 유일한 기관이다. JANPIA는 자금배분기관(Funds Distribution Organization·이하 FDO)을 선정해 지원금을 전달한다. 현재까지 자금분배기관을 통해 236개 사업이 시작됐으며, 이를 기반으로 총 1356건의 사회문제 해결 프로젝트가 추진됐다. JANPIA는 ‘아무도 소외되지 않는 지속가능한 사회 창조의 촉매’라는 비전을 내세우고, 민간 공익단체의 역량을 개발하고 자립적 모금 환경도 조성해왔다. 2023년부터는 그 활동 영역을 임팩트 투자로까지 넓혔다. 지난 4일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SVS) 주최로 열린 ‘사회적금융포럼’ 참석차 한국을 찾은 아이코 코자키(Aiko Kozaki) JANPIA 임팩트 투자부문장을 <더나은미래>가 만났다. 인터뷰는 포럼 직후 서울 시내 한 카페에서 진행됐다. ―JANPIA가 설립된 배경은 무엇인가. “일본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 심각한 사회문제에 직면해 있다. 정부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워지자 시민사회 조직의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 역량을 키울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국회의 초당적 협력으로 휴면예금 활용법이 제정됐고, 자금을 투명하게 운용할 기관으로 JANPIA가 지정됐다. JANPIA는 현재 아동·청년 문제, 빈곤과 장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