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의 탄소직접공기포집(DAC) 스타트업 클라임웍스(Climeworks)는 아이슬란드에 세계 최대 규모 탄소 포집·저장시설 ‘오르카(Orca)’를 설치했다. /클라임웍스
美, 대기 중 탄소 흡수에 1조6000억 투자한다

미국이 12억 달러(약 1조6000억원) 규모의 ‘탄소직접공기포집(DAC)’ 허브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DAC는 대형 팬에 공기를 통과시켜 이미 대기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해내는 기술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11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즈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DOE)는 텍사스주의‘사우스텍사스DAC’, 루이지애나주의 ‘프로젝트사이프레스’ 등 DAC 허브 2곳 건설과 관련해 12억 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약정된 35억 달러(약 4조6637억원) 규모의 DAC 허브 투자 예산을 집행한 첫 번째 사례다. IRA는 미국 정부가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005년 대비 40%까지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친환경에너지 생산과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투자 세액 공제와 보조금 혜택을 주는 법안이다. DOE는 이번 투자를 통해 일자리 4800개를 창출하고 매년 200만t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제니퍼 그랜홈 에너지부 장관은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만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어렵다”며 “이미 대기 중에 방출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에는 27개의 DAC 허브가 있고 허브 개발 관련 논의는 130건에 달한다. IEA는 현재 논의 중인 DAC 허브 개발이 2030년까지 실현된다면 2050년에는 DAC 기술로 연간 7500만t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백승훈 기자 pojack@chosun.com

월드비전이 14일 ‘2023 글로벌 6K 포 워터 러닝’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월드비전
월드비전, 아프리카 아동 식수문제 해결하는 ‘G6K 러닝’ 참가자 모집

월드비전이 오늘(14일)부터 내달 24일까지 ‘2023 글로벌 6K 포 워터 러닝(이하 G6K 러닝)’ 캠페인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G6K 러닝은 참가자들이 6km를 직접 걷거나 달려 아프리카 아동에 깨끗한 식수를 전달하는 글로벌 기부 캠페인이다. 캠페인 참가비를 기부금으로 활용해 아프리카 르완다 냐가타레 지역에 안전한 식수시설을 건축하는 식이다. 6km는 아프리카 아동들이 물을 긷기 위해 물통을 들고 매일 평균적으로 걷는 거리다. G6K 러닝은 ‘글로벌 6k 포 워터(이하 G6K)’ 캠페인의 일환으로 전개된다. 월드비전은 2018년부터 개발도상국 아이들의 식수위생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G6K 캠페인을 이어오고 있다. 지금까지 G6K 러닝 캠페인 누적 참가자는 3만 5345명이며 올해 열리는 캠페인에는 ▲부산광역시 등 후원사 3곳 ▲풀무원샘물 등 협찬사 6곳 ▲모스포츠 등 파트너사 3곳이 함께한다. 월드비전은 이번 캠페인 참가자 750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오는 10월 14일 고양호수공원과 부산요트경기장에서 각각 열리는 오프라인 러닝 행사의 정원은 각각 3000명과 2000명이다. SNS 등을 통해 참여하는 버추얼 러닝 정원은 2500명이다. 참여 희망자는 월드비전 글로벌 6K 공식 홈페이지에서 신청하고 참가비 3만원을 결제하면 된다. 모든 참가자에게는 기념 티셔츠, 폐아크릴 메달 등 G6K 러닝 기념품이 전달된다. 조명환 월드비전 회장은 “식수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개도국 아동들에게 기후위기까지 겹친 상황”이라며 “아동들의 기본적인 권리가 지켜질 수 있도록 이번 캠페인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백승훈 기자 pojack@chosun.com

지난 1월 휴스턴주 일대가 토네이도로 초토화된 모습. /AP 연합뉴스
자연재해로 세계 보험손실액 올해 상반기만 66조원

자연재해로 인한 전 세계 보험사의 손실액이 올 상반기 기준 500억 달러(약 65조9150억원)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손실액의 70%는 토네이도와 같은 대류성 폭풍(SCC) 피해로 인한 것으로 확인됐다. 9일(현지 시각) 글로벌 재보험사 ‘스위스리’(Swiss Re)는 “기후변화 등에 따라 올해 상반기 자연재해 보험손실액은 지난 10년간 평균치인 320억 달러(약 42조1856억원)보다 54% 높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재보험사는 일반 보험사의 리스크 분산을 위한 금융 상품을 판매하는 회사다. 대류성 폭풍으로 인한 손실액은 350억 달러(약 46조1160억원)로 전체 손실액의 70%가량을 차지했다. 이는 지난 10년간 평균치인 180억 달러(약 23조7222억원)의 두 배 수준이다. 미국 국립해양대기국(NOA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폭우와 우박을 동반한 토네이도 등 대류성 폭풍이 경제적 피해로 이어진 사례는 729건에 달한다. 페리 셈슨 미국 미시간대학교 대기과학 교수는 지난 3월 미국 언론 복스(VOX)와의 인터뷰에서 “토네이도가 일회적 현상이기 때문에 기후변화의 결과로 규정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면서도 “폭우와 폭염 등이 토네이도 생성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줬다”고 설명한 바 있다. 자연재해 보험손실액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재해 재보험 가격과 보험 가격이 연쇄적으로 상승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9일 파이낸셜타임즈에 따르면 영국 특수보험업체 히스콕스(Hiscox)는 북미지역 자연재해 재보험 가격을 43% 높였다. 재보험은 보험사 등이 보험계약상의 책임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보험사에 인수시키는 보험이다. 미국 보험사 스테이트팜은 지난주 재보험 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자연재해 보험 가격을 20%가량 인상했다. 제롬 헤겔리 스위스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기후 변화에 따라 자연재해 규모와 강도 모두가 확대되고 있다”며 “기후적응과 관련한

지난 2월 한 남성이 가봉의 라폰다 수목원 내부를 거닐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가봉, 아프리카 최초로 ‘DNS’ 체결… 국채를 녹색채권으로 전환

가봉이 아프리카 국가 중 최초로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한 ‘DNS(Debt for nature swap·자연부채교환)’를 체결했다. 8일(현지 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가봉과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가 함께 발행한 명목상 5억 달러(약 6605억원) 규모의 DNS 거래가 체결됐다. 채권 만기는 2038년이며 금리는 6.097%다. DNS는 개발도상국의 국채를 금융기관이나 NGO에서 인수해 녹색채권으로 전환한 뒤 환경보호에 투자하는 제도다. 이를 테면 NGO가 개도국의 국채를 인수해 금융기관에 양도하고, 금융기관에서는 국채를 담보로 녹색채권을 발행하는 식이다. <관련기사 개도국 부채 인수해 환경에 투자한다… 다시 주목받는 ‘DNS’> 가봉은 지난달 25일 국제자연보호협회(TNC)의 중재로 해양생태계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DNS 입찰을 개시했다. 가봉 연안 해역과 해변은 멸종위기동물인 장수거북 개체수의 약 3분의 1을 비롯한 해양생물 20종의 주요 서식지다. 지금까지 가봉은 영해의 26%가량을 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관리해왔다. 미하일 볼드첸코 악사(AXA) 신흥국채권 매니저는 “DNS 트렌드가 열대우림 보호에서 해양생물 다양성 보전으로 변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말했다. 지난해 중미 국가 벨리즈가 카리브해 생태계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6억 달러(약 7920억원) 규모의 DNS를 체결하고 지난 5월에는 에콰도르가 갈라파고스 제도의 생물 다양성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16억 달러(약 2조원)에 달하는 채권을 판매하는 등 해양생물 다양성 보호를 위한 DNS 체결이 이어지고 있다. 백승훈 기자 pojack@chosun.com

8일(현지 시각) 크리스 힙킨스 뉴질랜드 총리가 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목표로 하는 '뉴질랜드 넷제로 펀드' 출범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뉴질랜드, 재생에너지 100% 전환 국가에 도전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약 1조6000억원 규모‘뉴질랜드 넷제로 펀드’ 출범 뉴질랜드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률을 10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함께 20억 뉴질랜드달러(약 1조6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이를 마중물 삼아 추가 투자를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8일(현지 시각) AP통신에 따르면, 크리스 힙킨스 뉴질랜드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뉴질랜드 넷제로 펀드’ 출범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번 투자가 청정에너지 분야의 기술 판도를 바꾸고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가져올 것”이라며 “넷제로 펀드를 통해 뉴질랜드가 재생에너지 기술의 허브로 거듭날 수 있다”고 말했다. 뉴질랜드 넷제로 펀드는 풍력·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 산업에 집중 투자된다. 현재 뉴질랜드의 재생에너지 사용률은 83% 수준이다. 이날 블랙록 CEO인 래리 핑크도 소셜미디어를 통해 넷제로 펀드에 투자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는 “재생에너지 사용률을 100%까지 높이려면 총 420억 뉴질랜드달러(약 33조6000억원) 규모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번 투자는 블랙록이 단일 국가에 탄소중립을 목적으로 한 투자 중 최대 규모”라고 설명했다. 메간 우즈 뉴질랜드 에너지부 장관은 “넷제로 펀드를 통해 뉴질랜드 내 청정에너지 기업들이 성장하고 이에 따라 일자리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뉴질랜드는 재생에너지 사용률 100%를 달성하는 세계 최초의 국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승훈 기자 pojack@chosun.com

지난 6월 파키스탄 남부 지역에서 여성들이 물을 긷기 위해 연못으로 향하고 있다. 거주지에 있던 급수장은 지난해 발생한 홍수로 소실됐다. /유니세프
유니세프 “남부아시아 아동 76%, 극한 고온 시달린다”

인도, 파키스탄 등 남부아시아 국가에 거주하는 아동 약 4억6000만명은 극한 고온에 노출된 채 연간 83일 이상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현지 시각) 유니세프는 “남부아시아 지역 18세 미만 아동 중 76%가 심각한 고온에 시달리고 있다”며 “이는 전 세계 비율인 32%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라고 밝혔다. 여기서 극한 고온 일수의 기준은 최고 기온이 35도가 넘는 날이다. 유니세프가 2021년 발표한 ‘아동기후위험지수’(CCRI)에 따르면 ▲인도 ▲몰디브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아프가니스탄 등 남부아시아 5국은 최고 위험 등급인 ‘매우 위험한 국가’에 해당한다. CCRI는 유니세프가 홍수·폭염 등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과 영양·위생에 대한 아동의 취약성을 바탕으로 산출한 지표다. 조사 대상인 전 세계 163국 중 ‘매우 위험한 국가’에 해당하는 국가는 33곳이다.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6월 인도에선 40도 넘는 극한 고온 현상이 이어지면서 사흘 만에 약 1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방글라데시에서도 올해 뎅기열로 인한 사망자가 300명을 넘어서며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파키스탄에선 폭우에 따른 홍수로 국토의 3분의 1이 잠기고 약 1700명이 사망했다. 산제이 위제세케라 유니세프 남부아시아 지역이사는 “남부아시아 지역의 극한 고온 현상이 아동, 임산부 등 기후 취약계층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며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이들의 피해가 점차 심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승훈 기자 pojack@chosun.com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