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4일(수)

청년이 말하는 지속가능한 발전…‘ESG와 미래세대 포럼’ 현장 ‘말말말’

미래세대는 ESG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22년 4월 MZ세대 380명 대상으로 실시한 ‘MZ세대가 바라보는 ESG 경영과 기업 인식 조사’에서는 응답자 중 64.5%가 “더 비싸도 ESG 실천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겠다”고 했다. 70%는 “ESG 우수 기업 제품이라면 경쟁사 동일 제품 대비 2.5~7.5%를 추가로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청년들은 실질적으로 ESG 경영을 위해 어떤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할까. 지난 15일, 고려대학교 사회공헌원이 한국ESG학회, 한국NGO학회와 함께 고려대 중앙광장 지하 1층 CCL에서 개최한 ‘ESG와 미래세대 포럼’에서 청년의 목소리를 들어봤다.

15일 오후 고려대 중앙광장 지하 1층 CCL에서 개최한 ‘ESG와 미래세대 포럼’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사회공헌원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을 나누고 ESG에 대한 이해와 실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린 이번 포럼은 2개의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됐다. 그 중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청년의 목소리’를 주제로 청년들이 주축이 된 첫 세션에서는 ESG 강화를 위해 국가와 정부, 기업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관한 발언이 이어졌다.

(왼쪽부터) 강동렬 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연구원 연구원, 한형규 MYSC 연구원, 김민주 사회혁신비즈니스학회 LAICOS 연합회장, 곽제헌 ESG Youth Forum 조직위원장, 정유정 고려대학교 eGIS/RS Lab 연구원이 발언을 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사회공헌원

강동렬 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연구원 연구원
“기업들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매년 발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ESG 공시 의무화가 2026년 이후로 연기된 상황이다. 기업이 ESG를 단순 ‘산수 맞추기’로만 생각하고 있지는 않은지 개탄스럽다. 환경 문제에 있어 우리에게 그렇게 많은 시간이 남지 않았다. 기업이 단기적으로 수익을 내더라도, 이 사회가 존재하지 않으면 막대한 재화와 자본은 의미가 없다. 단발적이고 근시안적인 평가에만 대응하는 기업의 모습이 아쉽다.”

한형규 MYSC 연구원
“ESG 교육과 아카데미 프로그램보다 앞서서 본질적인 마인드셋의 전환이 필요하다. 여전히 우리나라는 해외 ESG 트렌드에 끌려가고 있다. ESG는 기업들의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다가왔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에 기업들은 리스크 관리에만 주력해 왔다. 이제는 2단계로 넘어가 기업이 ESG를 주도할 때다.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ESG 시대를 열고 ESG를 끌어나갈 수 있다.”

김민주 사회혁신비즈니스학회 LAICOS 연합회장
“기업에 정책과 규제가 빠르게 적용됐을 때의 큰 문제점은 그린워싱과 데이터 조작이다. 표준화된 지표가 있더라도 ESG 요소에 끼워서 맞출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기업이 본질적인 관점에서 왜 ESG를 해야 하는지 먼저 고려해야 한다. 정량적인 지표를 활용해 ESG 공시를 할 수 있는 체계가 사실상 굉장히 부족하다. 정부의 명확한 지표와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시기다.”

곽제헌 ESG Youth Forum 조직위원장
“우리나라의 ESG 교육 프로그램 부재로 인해서 경제가 망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 지금 한류가 열풍 아닌가. ESG가 제2의 한류가 되어야 한다. 한국의 ESG 사례들을 발굴하기 위해 해외 인재를 데려오고 글로벌 트렌드를 따라가야 한다. 대국민 ESG 캠페인과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청년들이 ESG를 본인의 가치관으로 내재화한 뒤 본인이 하고 싶은 일과 연계해 봤으면 좋겠다.”

정유정 고려대학교 eGIS/RS Lab 연구원
“ESG에서도 연구가 필수적이다. 모든 걸 변화시키려면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시도와 개발,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을 해야 하는 시점이다. 이제는 연구가 중심이 돼야 한다. 효과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학계와 기업 간의 교류 채널이 필요하다. 연구하다가 기업에 취직하거나, 기업에서 활동하다가 교육하러 다시 학교로 올 수 있는 자유로운 교류가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인력·지식·기술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창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런 환경을 조성하려면 정부가 큰 시스템을 구축해 정책적이나 제도적으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

김규리 기자 kyurious@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