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 산단 띄우는 이재명 정부, 아시아 국가의 ‘에너지 대전환’ 정책은?

정부, 연말까지 특별법 제정 착수…인센티브 확대 예고
아시아 주요국은 산업단지를 공급망 거점으로 전환…에너지 정책도 입체화

이재명 대통령이 ‘RE100(재생에너지 100%) 산업단지’를 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로 지목하고, 연말까지 관련 특별법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지난 7월 10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재생에너지 산업단지는 규제를 과감히 풀고, 전기요금 감면 등 획기적인 인센티브를 적용해 기업이 몰릴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서 RE100 산업단지를 정부 최우선 국정과제 중 하나로 지목했다. 사진은 7월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이재명 대통령. /뉴스1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관계 부처와 함께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RE100 산업단지 및 에너지신도시 조성 특별법’을 준비 중이다. 전북 새만금, 전남 서남권, 울산 등이 유력 후보지로 꼽히며, 지자체 간 유치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들은 같은 과제를 어떻게 풀고 있을까. 중국·일본·인도 등은 산업단지를 단순한 유치 공간이 아닌, 에너지 전략과 산업구조 재편의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다.

◇ 中, 30GW급 ‘에너지 복합 클러스터’ 조성…일자리까지 연계

중국은 올해 3월 양회에서 ‘제로 탄소 산업단지’ 조성을 국가 정책으로 공식화했다. 특히 내몽골 오르도스시에는 풍력, 태양광, 수소,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 산업이 집약된 30GW 규모의 초대형 에너지 클러스터가 조성 중이다. 완공 시 연간 1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10만 개의 녹색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밖에도 장쑤성 창저우시 리양 산업단지는 태양광을 통해 연간 520만kWh의 전력을 자체 생산하고 있으며, 풍력·수력으로의 에너지원 다각화도 추진 중이다. 중국은 산업단지 단위를 넘어, 도시 단위의 전력 자립과 산업 생태계 전환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올해 3월 열린 양회에서 ‘제로 탄소 산업단지’ 조성을 국가 정책으로 채택 현재 내몽골에 30GW 규모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산업단지를 조성중이다. /Unsplash

일본은 산업 전력을 해상풍력 중심으로 재편하고 있다. 올해 6월, 일본 국회는 해상풍력 설치 가능 구역을 영해에서 배타적경제수역(EEZ)까지 확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수심이 깊은 일본 해역 특성상 ‘부유식 풍력’ 기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될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2040년까지 해상풍력 설비를 최대 45GW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산업 전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동시에, 아시아 해상풍력 수출 거점으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일본은 해상풍력으로 산업용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EEZ에도 해상풍력을 설치할 수 있는 법안을 올해 6월 국회에서 통과시켰다. /Unsplash

인도네시아는 기존 산업단지를 저탄소 구조로 전환하고 있다. 국제연합산업개발기구(UNIDO)의 ‘글로벌 친환경 산업단지 프로그램(GEIPP)’에 참여해 자국 산업단지의 에너지 효율과 환경 성과를 높이는 과정에 있다. 대표적으로 자카르타 인근 자바베카와 바탐섬의 바탐인도 산업단지에 태양광 발전, 폐수 재이용,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 환경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정부는 이들 사례를 바탕으로 국가의 다른 산업단지도 차례대로 친환경 산업단지로 전환할 계획이다.

◇ 印, RE100 넘은 ‘녹색수소 도시화’…수출 경쟁력도 고려

인도는 2023년 ‘국가 녹색수소 미션’을 발표하고, 산업단지에 재생에너지 기반 수소 생산 인프라를 집중적으로 조성하고 있다. 구자라트주에서는 7만2600ha 부지에 30GW 규모의 태양광·풍력 단지를 조성 중이며, 연간 500만 톤의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 단지는 2028년까지 37GW로 확대될 예정이며, 연간 5000만 톤의 탄소를 감축하고 10만 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정부는 이 클러스터를 통해 글로벌 제조기업 유치, 수출 기반 산업 확대까지 연결하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베트남은 RE100 산업단지를 외국인 투자 유치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롱안성의 ‘프로데지 산업단지’는 태양광·물 재활용·친환경 건축자재 등을 활용해 400ha 규모로 조성 중이며, 반도체, 전자, 섬유 등 첨단 산업 유치가 목표다. 빈증성의 ‘제3 베트남-싱가포르 산업단지(VSIP III)’는 50ha 규모의 태양광 발전 설비를 갖춘 스마트 산업단지로, 레고의 탄소중립 공장이 들어설 예정이다.

호주는 ‘REIP(재생에너지 산업지)’ 정책을 통해, 저비용 재생에너지를 먼저 확보하고 그 위에 산업단지를 올리는 전략을 구사한다. 대표적으로 서호주에는 7만㎢ 부지에 70GW급 풍력·태양광 단지가 조성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연간 2000만 톤의 그린암모니아를 생산할 수 있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